자기자본 40%이하 가이드라인 제시
빚 얻어 주식 사는 ‘무리한 투자’행태 제동
빚 얻어 주식 사는 ‘무리한 투자’행태 제동
증권사의 신용융자 잔고가 사상 최초로 7조원을 돌파하면서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개인들의 투자 행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증권사를 상대로 자율규제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신용융자 규모를 축소할 것을 직접 촉구하고 나섰다.
송경철 금감원 증권감독국장은 지난 25일 증권업협회에서 열린 증권사 영업담당 임원회의에 참석해, 증권사별 신용융자 규모를 5천억원 이하로 하거나 자기자본의 40% 이하로 줄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송 국장은 이 자리에서 “최근 신용융자 잔고가 급증함에 따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며 “조속한 시일 안에 잔고를 축소해야 하고, 가급적이면 보름 이내에 완료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증권업협회는 3월 말 영업보고서 기준으로 현재 신용거래를 하는 30개 증권사의 자기자본 총계는 모두 18조9천억원이며, 신용융자 잔고는 7조94억원이라고 밝혔다. 증권사 전체적으로는 신용융자 잔고가 자기자본 대비 37% 수준이지만, 증권사별로 이미 한도가 넘은 경우가 상당수여서 해당 증권사들은 이 비율을 맞추기 위해 대응책 마련에 부산하다.
한화증권은 26일 신규 신용거래를 한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동부증권 등 다른 증권사들도 대응책 마련을 검토하고 있어 앞으로 신용거래 중단 증권사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투자증권과 대우증권, 키움증권 등은 이미 한도를 넘어 신규 신용거래를 할 수 없는 처지다.
김세중 신영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금감원의 자율규제 권고는 빚을 얻어 무리하게 직접투자를 하는 것에 제동을 거는 것인 만큼 전체적으로 주식시장의 건전한 거래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익림 양선아 기자 choi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