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잠식 117만명 일자리 삼켜
대중국 직접투자도 위축 요인
대중국 직접투자도 위축 요인
중국의 경제성장이 앞으로 우리나라 고용기반에 부정적 효과를 낳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대일 서울대 교수는 2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낸 ‘KDI 정책포럼’에서 △중국과의 교역 △중국과의 수출 경쟁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 등 세 측면에서 유발되는 국내 노동시장 효과를 실증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고용기반은 1992~2004년 전체 고용의 0.8%(2004년 기준 18만여명) 정도 위축됐으나, 향후 전망은 다소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우선 중국과의 교역 측면에서는 대 중국 무역흑자가 유지돼 1989~2004년까지 매년 평균 0.5%의 국내 고용창출 기반 확충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은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국제시장에서의 경쟁을 보면, 중국이 우리나라의 수출시장을 잠식하면서 고용창출 기반을 위축시킨 효과가 컸다. 김 교수는 1993년 이후 중국의 우리나라 수출시장 잠식 효과가 연 평균 6.9%에 이르며, 1993~2004년 누적된 효과는 153조원으로 추정했다. 같은 기간 이에 따른 효과는 2004년 기준으로 전체 고용의 5%인 117만명에 이르렀다. 중국과의 경쟁 수준이 1992년 수준에 머물렀다면 수출 증가를 통해 2004년까지 117만명의 일자리가 늘었을 것이지만 그렇게 되지 못했던 셈이다. 특히 이 효과가 고학력·고기능 근로자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모든 수준의 근로자에 대한 고용기반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김 교수는 지적했다.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도 국내 고용창출 기반을 지속적으로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004년 기준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액은 2조원 정도로, 이를 통해 창출 가능한 국내 고용기반인 1만8800명(전체 고용 규모의 0.08%)이 위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직접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주로 인건비 절감을 목적으로 직접투자가 이뤄지고 있어 국내 고용창출에 부정적 효과가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김 교수는 “양질의 고용기반 창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술력 제고를 통해 제조업에서 신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기업의 투자를 활성화하는 한편 고부가가치 서비스의 고용창출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 접근이 시급하다”고 권고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