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우편통신국 장애인서비스 책임 말린 발크비스트
스웨덴 우편통신국 장애인서비스 책임 말린 발크비스트
“민주 사회에선 모든 사람들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습니다.”
스웨덴의 통신중계서비스를 주관하고 있는 우편통신국(PTS)의 장애인 관련 서비스 책임자인 말린 발크비스트(사진)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정보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992년 설립된 우편통신국은 스웨덴의 우정 및 정보통신 서비스 관련 규제 기관이다. 발크비스트는 “시장에서는 장애인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국가가 나서는 것”이라며 “최근 장애인과 비슷한 통신 욕구를 가진 노인 인구가 크게 늘고 있어 ‘시장의 인식’을 바꾸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웨덴 정부는 신체 기능에 장애가 있는 모든 연령의 사람들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정책을 내세우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편통신국도 모든 사람들이 효율적이면서도 저렴하게 안전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비전을 갖고 있다. 발크비스트는 “해마다 우편통신국 등 여러 정부 기관들은 사회 전반에 걸쳐 접근성 강화를 위해 설립된 ‘장애정책 협력을 위한 기관 ’(HANDISAM)에 장애인 관련 서비스 및 활동을 보고한다”고 전했다. 스웨덴에서 시행중인 세 가지 통신중계서비스 제공 업체가 각각 다른 이유를 묻자, 그는 “여러 회사들이 참여하면 경쟁이 가능해 질적으로 더 좋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빠르게 진화하는 통신 기술과 서비스의 혜택을 모든 사람들이 누리게 하는 일은 어느 국가에서든 쉬운 과제는 아니다. 발크비스트는 “우편통신국에서는 장애인 단체 등과 새로운 통신기기의 접근성에 대한 테스트를 시행해 결과를 공개한다”며 “시장의 주력 상품이 모든 사람을 고려한 디자인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톡홀름/글·사진 박현정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