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교육 물가 품목별 상승률
지난해 6% 올라…전체 물가 상승률 견줘 갑절
지난해 하반기부터 물가 불안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특히 교육 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비는 물가가 오른다고 해서 줄이기 힘든 고정비 성격이 강해, 그만큼 서민들의 부담이 늘어난 것이다.
13일 통계청 집계를 보면, 지난해 교육 물가은 2006년보다 6.0% 올라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는 지난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5%의 2.4배이다. 또 같은 수준이었던 2003년(6.0%)을 제외하면 1997년(7.3%) 이후 최고치이다.
교육 물가 가운데서도 가장 많이 오른 것은 유치원 납입금으로, 9.2%나 인상됐다. 국공립대학원과 국공립대 납입금도 급등해 각각 8.8%와 8.6% 올랐다. 사립대와 사립대학원 납입금은 각각 7.0%와 6.5% 인상됐다.
사교육비 물가도 껑충 뛰었다. 유치원·초등학생의 가정학습지 값은 7.6% 올랐고, △종합반 대입학원비(6.5%) △단과반 대입학원비(5.7%) △보습학원비(5.6%) △피아노학원비(5.1%) △종합반 고입학원비(5.0%) △단과반 고입학원비(4.5%) △미술학원비(4.2%) 등도 4% 이상 인상됐다. 다만 중학교 참고서(2.2%)와 고등학교 참고서(0.9%)의 상승률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낮았다. 또 교육 물가 통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학부모들의 부담이 큰 교복의 경우 남자 학생복은 2.8%, 여자 학생복은 3.7% 올랐다.
취업준비생들의 부담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토익과 워드프로세스, 자동차 면허 등의 시험 응시료가 5.3% 올랐고, 취업학원비(공무원시험 종합학원·미용학원·제빵학원·간호학원)도 4.3% 상승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