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은 12일(현지 시각) 루브르 박물관에서 대한항공과 공동으로 작품 해설을 위한 개인휴대용단말기(PDA) 시스템 도입 및 ‘한국어 안내 서비스’ 발표 행사를 갖고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진은 한국 관람객들이 루브르박물관에서 한국어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휴대용단말기(PDA) 이용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 파리/연합뉴스
대한항공 후원으로 7번째 해설언어로 채택
앞으로 세계 최고의 박물관 가운데 하나인 프랑스 루브르박물관에서 한국어로 작품해설을 들을 수 있게 됐다. 대한항공은 프랑스 파리 루브르박물관에서 12일(현지시각) 조양호 회장과 앙리 루아레트 루브르박물관장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어 해설 서비스를 개시하는 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루브르박물관에서 한국어는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일본어에 이어 일곱 번째 해설언어로 등장하게 됐다. 한국어 서비스는 ‘모나리자’ ‘미로의 비너스’ ‘사모트라케의 니케’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등 루브르를 대표하는 600개 주요 작품들에 대해 개인휴대용단말기(PDA)를 통해 그림과 글자, 음성을 제공한다. 대한항공은 박물관의 피디에이 시스템 도입과 한국어 작품해설 작업비용을 지원했다.
대한항공은 권욱민 부장은 “한국어 해설이 관광객이 더 많은 중국과 러시아의 언어보다 더 먼저 서비스된다는 점이 의미있다”고 강조했다. 루브르의 1년 전체 방문객 830만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한국인 비중은 8만명 가량으로 1% 가량에 불과하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