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의 첫 경제정책 조정회의가 7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렸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엔 각 부처에서 모두 19명이 참석했다. 특히 지난 정부와는 달리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자리를 했고, 청와대에서도 곽승준 국정기획수석과 김중수 경제수석이 참석했다.
경제 살리기를 전면에 내건 새 정부에서는 경제정책 조정회의가 ‘국무회의’나 다름없다. 15명의 국무위원 가운데 법무·국방·행정안전·통일부 등 네 부처 장관을 뺀 11명의 국무위원이 참석한다. 여기에다 국무총리실장과 금융위원장·공정위원장·통상교섭본부장 등 4명의 장관급 인사를 더하면 장관급 인사만 15명이 된다.
회의를 주관하는 강 장관의 위상도 커질 전망이다. 정부 조직 개편으로 부총리제가 없어졌지만,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정책 총괄부서 책임자로서 각 부처간 정책 협의 과정에서 사실상 부총리에 버금가는 권한을 휘두르게 됐다. 강 장관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회의를 매주 금요일에 하는 것으로 정례화해 주요 정책을 조정해 나가겠다”며 “주요 현안에 대해 각 부처가 같은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어 “지난 10년간 평균 4%대의 성장을 하면서 우리 경제가 역동성을 잃어가고 있다”며 “이런 추세라면 어떤 한 기업인의 걱정처럼 샌드위치 신세가 될 우려가 있고 향후 5년 동안 잘못하면 세계 경제의 변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