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학수 삼성그룹 부회장이 지난 4월 서울 태평로 삼성본관 지하1층 국제회의장에 마련된 기자회견장에서 경영 쇄신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해체작업 마무리단계…25일 쇄신 후속안 발표
임직원 거취 관심 “계열사 권한설정 등 지켜봐야”
임직원 거취 관심 “계열사 권한설정 등 지켜봐야”
이번주 삼성 사장단회의를 앞두고 전략기획실(전기실) 해체 작업이 마무리 단계로 들어섰다. 전기실 홍보팀과 법무팀 등이 쓰던 태평로 본관 26층은 벌써 삼성전자 홍보팀 등에 넘어갔다. 임직원의 계열사 복귀도 이달 안에 끝난다. 25일 발표될 후속안 가운데엔 핵심 임직원들의 거취와 전기실 기능 이전이 최대 관심사다. 특히 법적 논란이 없도록 계열사의 책임과 권한을 강화하는 것이 쇄신안의 진정성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이란 평가다. 이학수 부회장과 김인주 사장은 경영일선 후퇴를 선언한 만큼, 일선 비즈니스와 관련있는 일은 일체 맡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다만 퇴진 임원 누구에게나 주어지던 고문이나 상담역 등을 맡는 문제는 “모든 임원에게 주어지던 대우인데 그것마저 하지 말라는 건 잔인하다”는 대다수 의견에 대해 “오해를 살 여지는 되도록 없애야 한다”는 조심스런 목소리도 있다. 팀장급 임원들은 원대복귀가 원칙이다. 기획팀장인 장충기 부사장은 삼성물산으로 복귀한다. 경영진단팀장 최주현 부사장과 재무팀장 최광해 부사장, 인사팀장 정유성 전무는 삼성전자로 돌아간다. 지금이 사업연도 중간인데다 ‘변형 전략기획실’이라는 논란이 일 것을 우려해 ‘보좌역’ 등 한발짝 떨어진 보직이 주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 관계자는 “임원들 가운데 연수, 특히 3·6개월의 단기연수 신청이 많은 건 연말 정기인사에서 원하는 자리로 복귀하겠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삼성그룹 경영쇄신안 및 후속안 전망
이와 관련해 삼성 후속안의 진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선 “전기실 해체 또는 기능이 어디로 가고 말고 하는 문제보다 각 계열사 경영진의 권한과 책임을 어떻게 설정하는가 눈여겨봐야 한다”고 김진방 인하대 교수는 말한다. 삼성은 쇄신안 발표 당시 ‘사장단 협의회는 조정만 할 뿐 사업은 계열사별로 결정한다’고 강조한 바 있는데, 진짜 약속대로 독립경영체제로 이행하는지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와 함께 “통합총괄기능을 자꾸 논하거나 조직과 기능을 남기려고 하는 것이 자칫 삼성이 사회적 영향력 행사에 미련이 남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영희 기자 d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