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지역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
지방 물가 왜 더 오르나
강릉 7.6% 상승 `전국 최고’
애초 물가 낮아 상승폭 커져 지방 경제는 이미 몇해전부터 위기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지만, 물가만은 서울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돼 왔다. 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는 지방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서울을 앞지르기 시작했고, 지방과 서울간 물가상승률 격차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 특히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생활필수품 156개 품목으로 이루어진 ‘생활물가지수’는 지난달 제주도가 전년 동월 대비 9.1%나 올라 서울(5.7%)보다 3.4%포인트 높았다. 경기는 서울보다 더 침체돼 있는데, 물가는 서울보다 더 올라 ‘지역발 스태그플레이션’마저 우려되고 있다. 지방의 물가상승률이 서울보다 더 높은 가장 큰 원인은 유가 급등과 가중치 때문이다. 물가 조사 때 사용하는 가중치는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에서 해당 품목의 소비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다. 가중치는 각 시·도별로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특히 등유·휘발유·경유 등 석유제품이 가중치(총점 1000)의 절대 수치가 크고, 서울과 지방의 차이도 많이 난다. 예를 들어 등유의 경우 서울의 가중치는 0.8에 불과한데, 강원은 17.1, 제주는 13.9, 경북은 13.1이나 된다. 그런데 지난달 등유값은 전국적으로 65.8%나 급등했다. 지방에서 가중치가 높은 휘발유와 경유도 지난달 각각 24.8%, 51.2% 상승했다. 서울 사람들보다 지방 사람들의 가계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품목의 가격이 특히 많이 올라 지방의 물가상승률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지역별로 특수한 사정도 이유로 꼽힌다. 강원지방통계청 관계자는 “강원도의 등유 가중치가 높은데다, 특히 강릉의 경우 도시가스로 엘피지(LPG)를 쓰고 있는데, 엘엔지(LNG)에 비해 엘피지 가격이 더 많이 올라 물가상승률이 높게 나온다”고 말했다. 강릉의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7.6%나 올라 8개월째 조사대상 38개 도시 가운데 가장 높았다. 애초 지방의 외식비 등이 서울보다 낮았기 때문에 같은 가격만큼 올라도 지방의 상승률이 높게 나온다는 분석도 있다. 충북지방통계청 물가통계팀의 조병태씨는 “예를 들어 자장면값이 전국적으로 500원 오르더라도 서울은 4000원에서 4500원이 돼 12.5%오르지만, 지방은 3500원에서 4000원이 돼 14.3%가 오른다”고 설명했다. 지방의 물가가 이렇게 많이 오르자 각 지자체별로 원인 분석과 함께 자체 물가 조사에 나서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은 찾지 못하고 있다.
경북도의 신재걸 생활경제교통팀장은 “물가 모니터 요원 28명이 자체 조사를 하고 있는데, 통계청 조사 결과보다는 낮게 나온다”며 “다만 개인서비스 품목 중에는 상승한 품목이 많다”고 말했다. 충북도 경제정책과의 김호식씨는 “충주의 물가 상승률이 너무 높아 통계청에도 여러차례 문의해 봤지만, 원인을 잘 모르겠다”며 “물가 통계가 나올 때마다 비상이 걸리고 골머리가 아프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애초 물가 낮아 상승폭 커져 지방 경제는 이미 몇해전부터 위기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지만, 물가만은 서울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돼 왔다. 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는 지방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서울을 앞지르기 시작했고, 지방과 서울간 물가상승률 격차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 특히 일반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생활필수품 156개 품목으로 이루어진 ‘생활물가지수’는 지난달 제주도가 전년 동월 대비 9.1%나 올라 서울(5.7%)보다 3.4%포인트 높았다. 경기는 서울보다 더 침체돼 있는데, 물가는 서울보다 더 올라 ‘지역발 스태그플레이션’마저 우려되고 있다. 지방의 물가상승률이 서울보다 더 높은 가장 큰 원인은 유가 급등과 가중치 때문이다. 물가 조사 때 사용하는 가중치는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에서 해당 품목의 소비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다. 가중치는 각 시·도별로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특히 등유·휘발유·경유 등 석유제품이 가중치(총점 1000)의 절대 수치가 크고, 서울과 지방의 차이도 많이 난다. 예를 들어 등유의 경우 서울의 가중치는 0.8에 불과한데, 강원은 17.1, 제주는 13.9, 경북은 13.1이나 된다. 그런데 지난달 등유값은 전국적으로 65.8%나 급등했다. 지방에서 가중치가 높은 휘발유와 경유도 지난달 각각 24.8%, 51.2% 상승했다. 서울 사람들보다 지방 사람들의 가계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품목의 가격이 특히 많이 올라 지방의 물가상승률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지역별로 특수한 사정도 이유로 꼽힌다. 강원지방통계청 관계자는 “강원도의 등유 가중치가 높은데다, 특히 강릉의 경우 도시가스로 엘피지(LPG)를 쓰고 있는데, 엘엔지(LNG)에 비해 엘피지 가격이 더 많이 올라 물가상승률이 높게 나온다”고 말했다. 강릉의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7.6%나 올라 8개월째 조사대상 38개 도시 가운데 가장 높았다. 애초 지방의 외식비 등이 서울보다 낮았기 때문에 같은 가격만큼 올라도 지방의 상승률이 높게 나온다는 분석도 있다. 충북지방통계청 물가통계팀의 조병태씨는 “예를 들어 자장면값이 전국적으로 500원 오르더라도 서울은 4000원에서 4500원이 돼 12.5%오르지만, 지방은 3500원에서 4000원이 돼 14.3%가 오른다”고 설명했다. 지방의 물가가 이렇게 많이 오르자 각 지자체별로 원인 분석과 함께 자체 물가 조사에 나서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은 찾지 못하고 있다.
경북도의 신재걸 생활경제교통팀장은 “물가 모니터 요원 28명이 자체 조사를 하고 있는데, 통계청 조사 결과보다는 낮게 나온다”며 “다만 개인서비스 품목 중에는 상승한 품목이 많다”고 말했다. 충북도 경제정책과의 김호식씨는 “충주의 물가 상승률이 너무 높아 통계청에도 여러차례 문의해 봤지만, 원인을 잘 모르겠다”며 “물가 통계가 나올 때마다 비상이 걸리고 골머리가 아프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