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자급률 높이려
정부, 겨울농사 지원
정부, 겨울농사 지원
정부가 겨울철 농사를 정책적으로 지원한다. 국제 곡물가 급등에 대응하고 식량 자급률과 농가 소득도 높이기 위해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겨울철에도 농사짓는 논 면적을 현재 34만ha에서 2012년까지 66만ha로 32만ha 늘릴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농식품부의 목표대로 하면 2012년에 사료작물, 녹비작물(잎·줄기 등을 퇴비로 쓰는 작물), 밀의 재배 면적은 각각 26만ha(17만ha 증가), 22만5천ha(9만5천ha 증가), 1만4천ha(1만2천ha 증가)로 확대된다. 바이오디젤 원료인 유채도 1500ha에서 4만5천ha로 4만3500ha가 늘어난다.
농식품부는 또 청보리 등 사료작물을 조사료(건초·짚 등 섬유질 사료)로 가공해, 축산 농가에 공급할 500ha 규모의 조사료 생산·유통 단체 500곳을 육성하고, 사료작물도 경관보전 직불제 대상에 포함시켜 재배 농가 소득을 일정 수준(100만원/ha) 메워줄 방침이다. 경관보전 직불제는 보기에 좋지만 다른 작물에 비해 소득이 적은 작물을 기르는 농가에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이와 함께 농협을 중심으로 겨울철에 대도시 지역의 공원·고수부지 등에 유채·청보리 등을 심는 ‘그린 코리아(Green Korea) 운동’도 전개한다.
정부는 2012년까지 이번 사업과 관련된 보조금·비료 지원 등에 모두 1조7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계획대로 사업이 진행될 경우, 경제적 효과는 옥수수·콩 등 수입곡물 대체(8940억원), 농가소득 증가(4,300억원) 등 연간 1조3천억원에 이르고, 2012년 기준 27% 정도로 추정되는 곡물 자급률도 약 2% 정도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