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경제의 향방
삼성경제연 “과잉투자 탓 성장둔화 불가피” 지적
GDP 1%p 하락땐 대중 수출 2.5%p 감소 타격
GDP 1%p 하락땐 대중 수출 2.5%p 감소 타격
‘장밋빛 중국은 없다.’
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국내 경제연구소들이 잇달아 올림픽 이후 중국 경제에 ‘경고음’을 울리고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과 <뉴욕타임스> 등 외국 언론들도 일제히 5일치 신문에서 중국 경제의 하강 가속화 가능성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중국시장의 급성장에 대한 과도한 기대에 따라 대중 의존도를 높여온 우리 기업들도 분산투자 등의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6일 ‘베이징올림픽 이후 중국경제’라는 보고서에서 “지난 6년간 잠재성장률을 1%포인트 이상 상회하는 고도성장으로 과열현상이 발생했고, 인플레 압력이 매우 높으며 부동산 버블 붕괴 조짐으로 금융권의 부실채권이 늘어나고 있다”며 “중국의 감속 성장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도 ‘올림픽 이후 중국경제 불안하다’라는 보고서에서 올림픽 개최 이후 급격하게 경제성장이 둔화되는 ‘올림픽 밸리효과’가 역대 개최국 가운데 중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날 가능성을 제기했다. 실제 500억달러에 이르는 중국의 올림픽 직접투자 규모는 직전 개최국인 그리스의 5배, 오스트레일리아의 7배에 이르며, 투자가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가장 높은 상황이다. 또 베이징 등 6개 개최도시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과도하게 높아 과잉투자 우려가 있고, 소비자 기대심리 둔화현상도 이미 가시화된 점도 지적된다.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7월 중국의 자동차 판매 재고량이 4년 만에 최고치인 17만대로 나타나는 등 소비자들이 점점 소비를 꺼려하기 시작했다는 적신호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또 생산자물가지수는 99년 이후 최고치인 8.7%까지 치솟았다.
이런 중국의 경기 둔화가 한국 경제에 미칠 충격은 직접적이다. 중국의 실질 국내총생산이 1%포인트 하락하면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2.5%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중국기업이 경기 급랭에 대응해 가격 덤핑 전략을 구사하거나, 수출로 돌파구를 찾으려 할 경우 한국 기업의 가격경쟁력과 다른 지역 수출은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일단 중국 정부가 성장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인플레 억제에 주력해 내년 경제성장률이 8.1%로 연착륙할 시나리오의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봤다. 하지만 “경기과열 억제와 물가안정에 초점을 둔 현재의 긴축기조를 지속하면 내년 성장률은 7.2%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며 “기업들은 이런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둔 리스크 관리에 주력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중국 경기하락의 전염효과를 차단하기 위해 수출선 다변화, 소비재와 원자재 대체 수입원 찾기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중국 투자 포트폴리오도 축소·조정할 것을 권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가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 15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41.2%가 “올림픽 이후 중국경제가 소폭 하락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김영희 류이근 기자 d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