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장사안돼 상반기 7만3천명 줄어
월278만원 소득, 봉급생활자와 113만원 격차
월278만원 소득, 봉급생활자와 113만원 격차
경기침체와 구조조정 여파로 자영업 종사자들이 급감하고 있다. 문을 닫지 않고 버티고 있는 영세 자영업자들도 고물가의 충격으로 봉급 생활자에 견준 소득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는 등 한계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17일 통계청의 고용동향 통계를 보면, 올해 상반기 자영업자(고용주+자영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7만3천명이 줄어든 594만5천명으로 집계됐다. 카드사태로 내수침체가 극심했던 2003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고, 5년 만에 처음으로 60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상반기 기준 자영업자 수는 2002년 614만7천명에서 2003년 594만4천명으로 크게 줄어든 뒤, 다시 2004년 606만9천명, 2005년 611만6천명으로 늘어나다가 △2006년 610만5천명 △2007년 601만7천명 △2008년 594만5천명으로 3년 연속 감소세다.
장사를 계속하고 있는 자영업자라고 해서 형편이 나은 것은 아니다. 통계청의 가계수지동향을 보면, 가구주가 주로 자영업자들로 구성된 ‘근로자외가구’의 올해 1분기 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근로자가구’의 소득증가율(5.5%)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또 근로자외가구의 1분기 월소득은 278만원으로 근로자가구(391만원)에 비해 113만원이나 적었다. 지난해 4분기에는 근로자외가구의 월소득이 근로자가구의 월소득보다 89만원 적었다. 근로자외가구의 가처분소득증가율은 2.9%로 근로자가구(4.4%)와 차이가 컸다. 소득 증가가 미미하자 근로자외가구의 1분기 소비증가율도 2.4%에 그쳐 근로자가구(7.2%)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