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가구 비율 추이
28.1%로 작년보다 0.3%p↑
소득 부진에 물가급등 겹쳐
소득 부진에 물가급등 겹쳐
지난 2분기 우리나라 가계의 28.1%가 소득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계수지 통계를 전국 가구로 확대한 2003년 이후 2분기 기준으로는 최고치다. 적자 가구의 비율이 늘어난 것은 가계소득 증가가 미진한 가운데, 물가 급등으로 가계지출 부담이 크게 높아진 때문으로 해석된다.
25일 통계청의 가계수지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 2분기 전국가구(농어가 및 1인가구 제외)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8.1%로 지난해 2분기(27.8%)에 견줘 0.3%포인트 높아졌다.
2분기 기준으로 적자가구 비율은 2003년 28%에서 2004년 27.3%, 2005년 26.8%까지 떨어졌으나, 2006~2007년 27.8%에 이어 올해 다시 높아졌다.
소득계층을 10분위로 나눠 살펴보면, 하위 30%에 속하는 1∼3분위 계층에서는 절반에 가까운 49.6%의 가구가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계층의 적자가구 비율은 지난해 51.2%에서 올해 조금 낮아졌는데, 이는 저소득계층이 소득증가가 미진하자 지출을 극도로 억제한 때문으로 해석된다. 1분위 계층은 2분기에 소득이 전년동기대비 평균 4% 늘어난 가운데 지출을 1.8%를 줄였고, 2분위 계층은 소득이 3.3% 늘었으나 지출을 2%만 늘렸다.
중산층으로 분류할 수 있는 소득 4∼7분위 계층은 2분기 적자 가구 비율이 23.7%로 지난해(22.5%)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소득 상위 30%(8∼10분위) 계층 가운데 적자 가구 비율도 지난해 11.4%에서 올해 12.3%로 0.9%포인트 높아졌다.
한편 도시근로자가구 가운데 적자 가구 비율도 지난해 2분기 22%에서 올해 2분기 23.2%로 1.2%포인트 높아졌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