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 들여 농기계은행사업
정부와 농협이 현재 농가당 800만원이 넘는 농기계 관련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농기계 임대사업을 다음달부터 본격 실시한다.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8일 과천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농협이 농업인들의 경영비 부담을 덜기 위해 오는 2012년까지 5년동안 1조원의 기금을 조성해 ‘농기계은행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농기계은행사업은 농협이 중고 또는 새 농기계를 구입해 농민들에게 싼 값에 빌려주거나, 아예 일정 수수료를 받고 농기계로 대신 농사를 지어주는 것이다.
우선 농협은 다음달부터 내년말까지 3천억원을 들여 농업인들로부터 약 2만8천대의 중고 농기계를 사들일 계획이다. 부채 상환이 끝나지 않은 농기계 가운데 경작규모가 1.3ha미만인 영세·소농가나 65살 이상 고령농의 농기계부터 먼저 사준다. 농협은 이렇게 확보한 농기계를 꼭 필요한 농업인에게 저렴한 값에 1년 단위로 임대해준다. 임대료는 농기계 구입금액의 80% 정도를 회수할 수 있는 수준에서 최대한 낮게 책정할 방침이다.
농협이 직접 농기계를 동원해 일손이 모자란 고령농·영세농으로부터 일정 수수료만 받고 농사를 지어주는 ‘농작업 대행’ 사업도 병행한다. 하지만 농협의 농기계은행사업이 확대될 경우 민간 부문의 농사 대행 시장과 마찰을 빚고, 농기계 내수 축소로 국내 농기계 업계가 타격을 입는 등 부작용도 우려된다.
농식품부는 또 지나치게 높은 농식품 유통 비용을 줄이기 위해 유통단계를 축소하고 직거래 확대를 지원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우선 식품·외식업체 등 대량 수요자와 판매자가 온라인에서 직접 거래하는 ‘농식품 B2B 사이버 거래소’를 내년 하반기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또 텔레비전 홈쇼핑과 인터넷 텔레비전(IPTV)을 활용한 농식품 직거래 방안도 마련된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