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 2400억달러 모두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정부는 6일 최근 불거진 외환보유액 부족 논란에 대해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외환보유액이 충분한데도 민간의 지나친 우려로 환율이 폭등하고 ‘자기 실현적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외환보유액이 유동외채 대비 부족하다’거나 ‘상환 부담이 있는 외채를 고려할 때 가용외환보유액은 800억달러에 불과하다’는 주장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비현실적인 가정에 입각해 지나치게 보수적인 기준을 들이대면서 위기를 조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재정부는 은행이나 기업 등 민간이 부도 등으로 외채상환 능력이 전혀 없어 정부가 유동외채 전부를 갚아주는 상황이나 유동외채의 70% 이상을 보유한 은행권이 유동외채 전체에 대해 만기연장을 전혀 하지 못하는 극단적인 상황을 전제로 지적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설명했다. 현재보다 상황이 훨씬 나빴던 1997년 외환위기 때도 단기외채가 32%나 만기연장되었음을 볼 때 만기연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가정은 비현실적이라는 분석이다.
또 외환보유액 상당 금액이 당장 현금화가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재정부는 “외환보유액 2400억달러 전체가 가용외환보유액이고, 전액을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운용 중”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정부가 ‘달러 가뭄’ 해소를 위해 은행들 스스로도 외화자산 매각이나 예금 유치 등에 적극 나서 달라고 요구함에 따라, 자구 노력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강만수 재정부 장관, 전광우 금융위원장과 시중은행 및 국책은행장 간담회 직후 민유성 산업은행장은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은행들이 잘 대처해 달라는 당부가 있었다”며 “국책은행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한 만큼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한 뒤 해외채권 발행 등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윤용로 기업은행장은 “기업들의 외화예금을 적극 유치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그동안 외화증권 처분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해 왔지만 더 처분할 것이 있는지 살펴보는 중”이라고 말했고 하나은행도 “유럽 등 해외채권 매각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