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 1만선이 무너진 6일 한 미국인이 뉴욕증권거래소 앞에서 ‘베어 마켓’(주가 하락세의 시장)을 상징하는 뜻으로 곰으로 분장한 채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뉴욕/AFP 연합
“중국등 포함한 새 다자기구 필요”
IMF “금융위기 손실 1조4천억 달러로 늘어나”
IMF “금융위기 손실 1조4천억 달러로 늘어나”
“미국의 구제금융법은 격랑의 바다에 던져진 조약돌처럼 초라하다.”
깊어지는 금융위기가 세계로 확산되고, 각국 정부가 긴급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지만, 금융시장은 점차 ‘패닉’ 상태로 빠져들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7일(현지시각) 이런 상황이 글로벌 공조의 필요성을 한층 높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백악관은 7일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 등과 전화로 금융위기 해법에 대한 견해를 나눴다고 밝혔다.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부시 대통령이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도 접촉하길 희망하고 있으며, 각국 정상에 금융위기 해결을 위해선 서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그동안 각국이 쏟아내는 구제금융 대책들이 ‘임시변통’에 불과하며, 적극적인 공조 움직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은 꾸준히 목소리를 키워왔다.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프레드 베르그스텐 연구원은 “대부분의 대책이 개별 국가에 한정됐다”며 “위기의 세계적 확산은 글로벌한 대응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회원국간 분열로 범유럽 구제펀드 조성이 무산된 유럽연합(EU)에선 이런 필요성이 더 크게 제기된다. 경제 전문가들은 “금융위기에 대한 유럽의 대응은 대부분 ‘의견 불일치’로 일관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영국과 독일은 위기에 빠진 이웃 국가들에만 좋은 일을 시킬 것이라며 ‘확장된’ 해결책을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럽연합 27개 회원국 재무장관들은 7일 룩셈부르크에서 예금 지급 보장 한도를 2만유로에서 5만유로로 높이기로 합의했다. 이는 유럽 국가들이 금융위기에 공동대응을 펴는 사실상의 첫 시도로 꼽힌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앞서 로버트 졸릭 세계은행 총재는 6일 “주요 7개국(G7) 회의는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달라진 시대에 걸맞게 중국과 인도, 브라질 등 신흥경제국을 포함하는 더 나은 회의체를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새로운 다자기구는 단일한 시스템에 고정되지 않은, 유연한 네트워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세계금융안정 보고서를 통해 “미국발 금융위기에 따른 국제적 손실이 1조4천억달러로 증가했고 국제경제의 침체도 깊어지고 있다”며, 지속적이고 일관된 국제적 공조 노력을 강조했다.
<뉴욕 타임스>는 “유럽과 미국의 위기가 깊어질수록 세계의 나머지 나라들이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며 “불가리아와 에스토니아처럼 외국 자본의 이탈에 영향을 크게 받는 동유럽과 중앙유럽이 대표적”이라고 전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