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본 5%이상 잃어
상장 지속 여부 불투명
상장 지속 여부 불투명
선물환 통화옵션상품인 키코(KIKO) 관련 손실의 후폭풍이 주식시장으로 확산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의 급등으로 키코에 가입했다가 대규모 손실이 발생한 상장기업 수가 70개를 넘어섰다. 상장사 가운데 키코 관련 손실로 자본 잠식 규모가 클 경우 상장 지속 여부도 불투명하게 됐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지난 10일까지 올해 6월 말과 9월 말을 기준으로 키코에 가입해 자기자본의 5% 이상(코스닥시장은 10% 이상)의 손실을 냈다고 공시한 상장사는 모두 74곳이다.
특히 7월 이후 3분기에만 18개의 상장사가 통화옵션상품 투자로 큰 손실을 입었다고 공시했고, 이 가운데 8개 기업은 통화옵션상품 가입으로 발생한 손실을 처음으로 밝혔다.
이런 상장사들의 키코 관련 대규모 손실은 상장 여부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다.
현행 규정상 2반기 연속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거나, 회계연도 말 사업보고서에서 전액 자본잠식인 상장사는 상장폐지되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실적 기준으로 파생상품 투자 손실로 자본금이 전액 잠식된 경우는 아이디에이치와 우수씨앤에스 두곳에 그치지만, 6월 말 달러당 1050원선이던 원·달러 환율이 1400원선을 넘나 들면서 키코 투자기업들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