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까진 필요 없어” 밝혀
강정원 행장, 지급보증 촉구
강정원 행장, 지급보증 촉구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에 이어 한국에서도 은행간 자금거래에 정부가 지급을 보증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미국 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를 마치고 뉴욕으로 이동하던 기차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계 은행에 (정부가 지급보증을 해줘야 할 정도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도 “대출자 입장에서는 다른 나라는 보증을 하는데 한국이나 일본이 보증을 하지 않을 경우 과연 어떤 액션(행동)을 취할지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은행간 자금거래에 정부가 지급보증을 서려면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한다.
강 장관은 “은행장들과 만난 간담회에서 은행이 스와프 시장(다른 나라 통화간 맞교환)을 통해서도 자금조달이 안 될 때는 자구 노력을 전제로 정부가 해결한다고 약속했다”며 “그런 점에서 대외적으로 이미 사실상 지급보증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아울러 “아시아 국가들은 은행간 거래에 대해 정부가 지급보증을 할 필요까지는 없는 상황”이라며 “홍콩·일본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어떻게 해결하는지 상황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강정원 국민은행장은 이에 앞선 기자간담회에서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에 이어 미국까지 은행간 거래에 대한 지급보증에 나설 경우 우리 정부도 같은 조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강 행장은 “정부 지급보증이 없는 은행간 자금거래 시장엔 돈이 전혀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며 “다른 나라가 다 지급보증을 하는데 우리만 하지 않는다면 한국계 은행들은 단기 달러자금을 빌리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특히 “미국 금융시장에서는 가장 건전하다는 제이피모건과 뱅크오브아메리카(BOA) 간에도 오버나이트(초단기 대출) 거래밖에 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워싱턴/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