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4일 “미국에 이어 중국·일본과도 통화 스와프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무역진흥 확대회의 인사말을 통해 이렇게 밝힌 뒤 “그렇게 되면 외화 유동성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된다고 본다”며 “금융위기, 금융 유동성(문제)은 사실상 해결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이날 언급한 중국·일본과의 통화 교환은 현재 시행 중인 중국·일본과의 통화 맞교환 규모를 확대하거나 또는 위안화나 엔화가 아닌 달러화 교환 방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현재 ‘아세안+3’에서 논의 중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800억달러 규모의 다자화 공동기금) 외에 별도의 한-중, 한-일 양자 통화 스와프 협상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변인은 또 중국·일본과의 통화 교환과 관련해 “자국 통화를 맡기고, 달러화를 빌려오는 게 정상”이라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중국과는 40억달러, 일본과는 130억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 협정을 맺은 상태다. 중국과는 ‘원-위안’ 맞교환이고, 일본과는 100억달러는 ‘원-달러’, 나머지 30억달러는 ‘원-엔’ 맞교환 협정이다.
이 대통령은 또 이날 회의에서 “이제는 완전히 실물경제(가 문제)”라며 “그 중에서도 수출이 내년도 경제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대통령은 자신의 기업경영 시절을 이야기하며 “과거에 경험해 보니까 정부가 뭘 해 준다, 돈을 푼다 발표하고 은행에서 어떻게 한다고 해도 창구에 가 보면 아주 냉정하다”며 “(은행들이) 돈이 필요 없을 때는 갖다 쓰라고 하는데 정작 필요할 때는 안면을 바꾸는 경우를 많이 봤다”고 지적했다. 이는 은행 등 금융기관이 경제위기가 일어나면 중소기업 대출부터 먼저 중단해 자금경색을 더욱 심화시키는 관행에 대해 일종의 경고를 한 것으로 보인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