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건전성을 중시해온 국제통화기금(IMF)이 이례적으로 지금의 전지구적 경기 침체에 대응하는 최적의 수단으로 감세보다 재정지출 확대를 권고했다. 앞서 유럽연합(EU)도 지난달 회원국들에 공공지출 확대가 짧은 시기에 감세보다 경제에 더 큰 자극을 줄 수 있다며, 이를 27개 회원국에 권장한 바 있다.
국제통화기금은 29일(현지시각) ‘위기에 대한 재정 정책’이란 보고서에서 “지금의 위기는 금융 시스템 수리와 총수요 증가란 두 가지 주요한 정책적 조처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통화기금은 또 “감세나 세금 환급을 통해 가계나 기업의 수입이 늘더라도 대단히 높은 (경제적) 불확실성 때문에 구매력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며 “공공지출 확대가 단기간 수요와 공급 창출에 곧바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통화기금은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세계 총생산(GDP) 54조달러의 약 2%를 경기부양책에 쏟아부어야 한다고 촉구해 왔다. 통화기금은 그동안 재정적자와 공공부채 증가에 부정적인 견해를 견지해 왔다.
통화기금은 1930년대 대공항 초기 허버트 후버 미국 대통령과 저축대부조합(S&L) 사태에 대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늑장 대처가 ‘비용’을 키웠다며, 시의성 있게 크고도 지속적이면서 다양한 재정지출 확대를 주문했다. 통화기금은 “재정 자극책뿐만 아니라 대공황 시나리오의 반복을 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정책이라도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