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생활에서 느끼는 ‘경제적 고통’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조사됐다.
1일 엘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생활경제 고통지수’(Misery Index)는 지난해 11.8로 1998년의 20.2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고통의 정도를 보여주는 이 지수는, 154개 생필품으로 구성된 생활물가 상승률과 주 17시간 이하 단시간 취업자를 실업자로 포함하는 체감실업률을 더해 산출한다. 2004년 11.6에서 2005년 11.0, 2006년 9.8, 2007년 9.6 등으로 하락세를 최근 유지했지만 지난해 급상승했다.
연구원은 지수 상승의 주범으로 물가 불안을 꼽았다. 체감실업률은 2007년 6.5%에서 지난해 6.3%로 소폭 떨어졌지만, 생활물가 상승률은 3.1%에서 5.8%로 두 배 가까이 급등한 상황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보다 지역의 경제적 고통이 더 심했다. 지난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경제적 고통이 가장 높았던 곳은 광주(13.0)였고 울산· 대전·충남(각 12.6), 강원(12.4), 충북(12.3)이 뒤를 이었다. 특히, 울산은 고통지수가 3.7포인트나 급등했다. 울산은 자동차 등 제조업 비중이 높아 경기침체의 충격을 가장 크게 받은 탓으로 보인다. 지난 5년간 경제적 고통지수가 가장 높았던 서울은 12.1로 9위로 밀렸다.
김영희 기자 d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