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 보고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가 올해 세계 경제보다 더 큰 폭으로 침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엘지(LG)경제연구원은 8일 ‘국내 경기에 대한 세계경제 영향 확대의 원인’ 보고서에서 “국내 경제가 세계 경제보다 더 크게 하락하는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전기 대비 -5.6%로 미국(-1.6%)이나 유럽연합(-1.5%), 일본(-3.3%) 등 선진국은 물론 주요 개발도상국보다도 침체 폭이 컸다. 가장 큰 원인은 높은 대외의존도다. 우리나라 수출이 전체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57.7%로 전세계 평균(33.5%)의 거의 두 배에 달했다.
수출품 구성도 세계 경기 침체에 취약하다고 지적됐다. 우리나라의 수출품 구성은 세계평균에 비해 내구재와 중간재의 비중이 큰데, 이는 주로 선진국으로 자동차나 기계·전자제품 등 내구재를, 중국 등 개발도상국으로 생산능력 확충에 필요한 중간재와 자본재를 수출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최근 글로벌 수요 위축 속에 미국에선 내구재 소비가 급감하고, 이것이 중국을 통한 우회수출에도 타격을 줘 자본재 수출까지 크게 줄었다”고 진단했다. 2007년 이후 내수 경기가 세계 경기에 동조화됐다는 점도 한국 경제에 부담 요인이 됐다고 지적했다.
김영희 기자 d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