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2009년 이마트 지수
물가인상 등 반영…1~2월 94.3 “알뜰 소비경향”
.
경기에 따라 변하는 소비 태도를 살펴볼 수 있는 ‘이마트 지수’가 개발됐다. 신세계는 11일 판매 품목들의 실질적인 소비량을 집계해 지수화한 ‘이마트 지수’를 개발했고, 앞으로 분기마다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마트 지수’는 상권 변화가 적은 50개 점포에서 판매하는 476개 품목의 분기별 소비량을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소비자 경기가 호전됐음을, 100 아래이면 악화를 뜻한다. 이제까지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 발표하는 매출액 중심의 신장률은 가격이나 물가 인상이라는 변수를 반영하지 못했다. 신세계는 “이마트 지수는 실질 소비량의 변화를 지수화한 것으로 소비자 경기를 좀더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고 밝혔다. 신세계는 올해 1~2월 이마트 지수를 산출한 결과, 94.3으로 지난해 1분기 102.5보다 8.2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지난해 2분기 99.6, 3분기 96.0, 4분기 95.1로 2008년 1분기 이후 4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신세계는 1~2월 개별 품목의 이마트 지수를 산출한 결과, 경기 침체로 고가상품보다는 저가상품을 선호하는 ‘알뜰 소비’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국산 과일 지수는 97.9이었지만, 환율 등의 영향으로 값이 많이 오른 수입 과일 지수는 76.2 였다. 저가 모델인 일반 냉장고 지수는 102.8로 소비량이 늘어났지만, 양문형 냉장고 등 고가 모델 지수는 75.9로 지수 격차가 26.9포인트에 이르렀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경기에 따라 변하는 소비 태도를 살펴볼 수 있는 ‘이마트 지수’가 개발됐다. 신세계는 11일 판매 품목들의 실질적인 소비량을 집계해 지수화한 ‘이마트 지수’를 개발했고, 앞으로 분기마다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마트 지수’는 상권 변화가 적은 50개 점포에서 판매하는 476개 품목의 분기별 소비량을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소비자 경기가 호전됐음을, 100 아래이면 악화를 뜻한다. 이제까지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 발표하는 매출액 중심의 신장률은 가격이나 물가 인상이라는 변수를 반영하지 못했다. 신세계는 “이마트 지수는 실질 소비량의 변화를 지수화한 것으로 소비자 경기를 좀더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고 밝혔다. 신세계는 올해 1~2월 이마트 지수를 산출한 결과, 94.3으로 지난해 1분기 102.5보다 8.2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지난해 2분기 99.6, 3분기 96.0, 4분기 95.1로 2008년 1분기 이후 4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신세계는 1~2월 개별 품목의 이마트 지수를 산출한 결과, 경기 침체로 고가상품보다는 저가상품을 선호하는 ‘알뜰 소비’경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국산 과일 지수는 97.9이었지만, 환율 등의 영향으로 값이 많이 오른 수입 과일 지수는 76.2 였다. 저가 모델인 일반 냉장고 지수는 102.8로 소비량이 늘어났지만, 양문형 냉장고 등 고가 모델 지수는 75.9로 지수 격차가 26.9포인트에 이르렀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