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경기침체 불구 환율 크게 올라 고물가 지속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선진 7개국(G7)의 평균보다 7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물가는 하향안정 국면에 접어든 반면에, 우리나라는 경기침체에도 상대적으로 고물가 고통까지 겪고 있는 셈이다.
1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통계를 보면, 경제협력개발기구가 표준화한 30개 회원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월대비)은 1.3%를 기록했다. 이는 같은 달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3.7%의 3분의 1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 30개 회원국 가운데서도 오스트레일리아, 슬로바키아 등에 이어 4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미국·영국·프랑스·일본 등 선진 7개국의 평균(0.5%)보다 7배 이상 높았다. 지난해 7월과 올해 1월 선진 7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비교하면, 미국은 5.6%에서 0%로, 영국은 4.4%에서 3.0%, 일본은 2.3%에서 0%, 프랑스는 3.6%에서 0.7%, 독일은 3.3%에서 0.9%로 내려갔다. 우리나라는 5.7%에서 3.7%로 떨어져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았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가 주요 선진국에 견줘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수입 물가와 직결되는 환율이 다른 나라에 견줘 많이 오른 게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우리나라의 농산물 수입 비율이 높은 것도 여전히 고물가가 유지되는 원인이다. 즉 주요 선진국들은 농산물 자급 비율이 높아 국제 곡물가격 하락이 곧바로 물가에 반영되지만, 수입물량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국제 곡물가격이 내리더라도, 운송·통관 등 수입절차에 시간이 걸려 국내 소비자가격에 반영되기까지 4~5개월의 시차가 생긴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