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원 국민은행장(가운데)을 비롯한 시중은행장들이 2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중소 건설·조선사를 대상으로 한 채권은행단 2차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한 뒤 회의실을 나서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2차 구조조정 심사결과
15곳은 ‘워크아웃’ 확정
15곳은 ‘워크아웃’ 확정
도원건설 등 중소형 건설·조선사 5곳이 부실기업으로 판정받아 퇴출 절차를 밟게 된다. 또 15곳이 채권단의 기업개선절차(워크아웃) 대상으로 확정됐다.
국민은행을 비롯한 채권은행들은 2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2차 구조조정 심사 대상인 시공능력 101~300위권의 70개 건설사와 4개 조선사 등 74개 업체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도원건설, 새롬성원산업, 동산건설, 기산종합건설 등 건설사 4곳과 조선사인 와이에스(YS)중공업이 D등급을 받아 퇴출 대상으로 분류됐다. 주채권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3곳으로 가장 많고 신한은행 1곳, 기타 1곳이다. 우리은행을 주채권은행으로 삼고 있는 와이에스중공업은 평가 기간 중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 15개 업체는 송촌종합건설, 대원건설산업, 대아건설 등 건설사 13곳과 세코중공업, 티케이에스(TKS) 등 조선사 2곳이다. 채권은행들은 C등급 가운데 금융기관의 신용공여액이 500억원 미만인 태왕 등 7개 건설사에 대해서는 대주단 협약을 적용해 유동성을 지원하기로 했다.
강정원 국민은행장은 “15개 워크아웃 기업에 대해 자구 계획 이행을 전제로 실효성 있는 금융지원과 철저한 경영관리를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며 “기업의 조기 회생을 위해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경영정상화 계획 약정(MOU)을 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이번에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업체 수(20곳)가 1차 신용위험평가 때의 대상업체 수(16곳) 보다 많지만, 해당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액 규모가 크지 않아 채권은행들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20개 건설·조선사의 구조조정에 따른 금융권 손실규모(대손충당금)는 은행, 저축은행 등을 합쳐 1960억원으로 1차 신용위험평가 때의 대손충당금 규모(2조2300억원)에 견주면 10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채권은행들은 건설사들에 대한 워크아웃이 개시되더라도 정상영업을 할 수 있고 주택보증에 의무 가입돼 있어 분양 계약자에게 큰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채권은행들은 1차 신용위험 평가에서 A, B 등급을 받은 업체에 대해선 일괄 재평가를 하지 않고 채권은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업체에 한해 4월부터 실시되는 정기 기업신용위험 상시평가 때 심사하기로 했다. 한편, 1차 신용위험 평가 때 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된 이수건설의 차입금에 대해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은 2010년말까지 채무상환을 유예하고 금리를 50% 이상 깎아주기로 하는 내용의 채무조정안을 확정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금융위원회는 이번에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업체 수(20곳)가 1차 신용위험평가 때의 대상업체 수(16곳) 보다 많지만, 해당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액 규모가 크지 않아 채권은행들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20개 건설·조선사의 구조조정에 따른 금융권 손실규모(대손충당금)는 은행, 저축은행 등을 합쳐 1960억원으로 1차 신용위험평가 때의 대손충당금 규모(2조2300억원)에 견주면 10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채권은행들은 건설사들에 대한 워크아웃이 개시되더라도 정상영업을 할 수 있고 주택보증에 의무 가입돼 있어 분양 계약자에게 큰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채권은행들은 1차 신용위험 평가에서 A, B 등급을 받은 업체에 대해선 일괄 재평가를 하지 않고 채권은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업체에 한해 4월부터 실시되는 정기 기업신용위험 상시평가 때 심사하기로 했다. 한편, 1차 신용위험 평가 때 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된 이수건설의 차입금에 대해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은 2010년말까지 채무상환을 유예하고 금리를 50% 이상 깎아주기로 하는 내용의 채무조정안을 확정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