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 동안 전국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 상승률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가 2003년부터 2008년까지 통계청이 집계한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의 월평균 소득과 아파트 가격을 비교·분석한 자료를 보면, 5년 동안의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이 소득 상승률보다 높았다.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89만5천원으로 2003년의 294만원에 견줘 32.5% 늘어난 반면에, 전국 아파트값은 2003년 3.3㎡당 622만원에서 2008년 893만원으로 43.6%나 올랐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아파트값이 2003년 3.3㎡당 1115만원에서 2008년 1705만원으로 52.0%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고, 경기도(50.6%)와 인천(48.1%)이 뒤를 이었다. 서울의 용산구(84.8%)와 노원구(79.9%), 도봉구(79.8%)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소득 상승률의 두 배를 넘었다.
지방 5대 광역시(11.8%)와 중소도시(15.1%)는 아파트값보다 소득이 더 많이 올랐다. 5대 광역시 가운데 울산(56%)을 제외하곤, △부산(10.2%) △대구(8.2%) △광주(11.5%) △대전(5.6%) 등은 집값 상승률이 소득상승률보다 낮았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경기침체로 기업들이 연봉을 동결·삭감한 가운데 아파트값은 다시 오르고 있어 소득과 아파트값 격차가 더 벌어졌다”며 “격차가 벌어질수록 도시근로자들은 수도권 내에서 집을 마련하기 힘들어 질 것”이라고 말했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