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스마트 그리드’ 구축 발표…풍력·태양광엔 녹색요금제 도입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세계 최초로 국가 단위의 ‘스마트 그리드’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계획이 완료되면, 에너지 소비의 3%를 절감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4100만톤(2006년 배출량의 7.1%) 줄여 원전 7기를 덜 짓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그리드란,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접목시켜 전력회사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 등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차세대 전력망’을 말한다.
지식경제부는 5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관련기업·학계·시민단체 등이 참가하는 ‘스마트 그리드 로드맵 수립 총괄위원회’ 2차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스마트 그리드 비전’ 초안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초안에 따라, 2012년부터 전기차 보급을 위해 아파트·관공서 주차장에서 전기차 배터리를 빌려주는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저탄소 생활화’를 통해 전기요금 15% 절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지경부는 밝혔다.
이호준 지경부 전력산업과장은 “68조원 규모의 내수시장과 일자리 50만개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 전력의 품질 및 환경친화성 기준으로 전기요금을 차별 부과하는 제도 도입을 추진한다. 예를 들어 풍력·태양광 등 친환경 전력을 선택하는 소비자에게는 ‘녹색요금제’가, 컴퓨터에 공급되는 고품질 전력과 난방기에 공급되는 저품질 전력을 선택하는 소비자에게는 각각 다른 ‘품질별 요금제’가 적용되는 식이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