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등 5개사 노조 ‘합리적 매각기준 마련’ 촉구
대우건설, 대우조선해양, 금호생명, 대우조선해양건설, 쌍용건설 등 매각이 진행중이거나 앞으로 추진될 5개 기업 노동조합이 뭉쳐 ‘합리적인 기업 매각’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 노조는 8일 서울 광화문 금호아시아나 1관에서 ‘바람직한 기업매각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 발족식을 열었다.
공대위는 발족문에서 “아이엠에프 사태 이후 기업 구조조정과 공적자금 투입, 채권단의 회생기업 지분 매각이 ‘최대 금액 회수’라는 목표 아래 진행돼, 회생기업들이 투자자금 회수를 원하는 인수자에게 현금·우량자산을 약탈당한 채 또다시 부실 위험에 놓이게 됐다”고 주장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이 6조4000억원의 초고가로 대우건설을 인수할 당시 재무적 투자자들과 맺었던 풋옵션을 처리하지 못해 2년6개월 만에 대우건설을 되팔기로 한 것이 대표적이다.
김욱동 대우건설노조 위원장은 “이런 사태는 분명한 인재”라며 “스스로 투기꾼이 되어 최고가 매각에 매달린 정부와 채권단에도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공대위는 이날 금융위원회에 “기업 매각 시 금액이나 인수자 자본조달의 적정성, 인수 후 상환능력 등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공대위는 또 외국 자본이 기업 매각에 참여할 때는 산업기술 유출 방지를 위해 보증금 제도 등 예방책을 마련하고, 기업 매각 과정에 임직원 참여를 보장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들 노조는 매각 절차가 진행중인 대우건설과 관련해 “국내외 사모펀드의 입찰 참여를 원천 배제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담은 항의서를 이날 오후 금융감독원과 매각 주간사인 산업은행에 전달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