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가위를 앞두고 생활물가 특별대책을 발표한 10일 오후 서울 남대문시장이 물건을 사러 온 사람들로 붐비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정부, 21개 품목 매일 점검…물량 공급 2배↑
명절자금 필요한 중소기업에 11조 지원키로
명절자금 필요한 중소기업에 11조 지원키로
정부가 한가위를 앞두고 21개 품목에 대해 특별 물가 관리에 들어간다. 또 예년보다 물가 대책 기간을 1주일(2→3주) 늘리고, 중소기업과 저소득층 등에 대한 세제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10일 기획재정부 등 14개 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추석 민생 및 생활물가 안정대책’을 보면 쌀과 무, 배추, 사과, 쇠고기, 달걀 등 농축수산물 16개 품목과 미용·목욕료 등 개인서비스 5개 품목이 특별점검 대상에 포함됐다. 오는 14일부터 한가위 연휴 직전인 10월1일까지 통계청이 21개 품목에 대해 매일 물가 조사를 하고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정부는 밝혔다. 이를 위해 매주 ‘민생안정 차관회의’가 개최된다.
또 정부는 16개 농축수산물 특별점검 품목의 가격 안정을 위해 물량을 평소보다 2배가량(최대 3.6배) 확대하기로 했다. 무, 배추 등 농협 계약재배 물량과 고등어 등 수협 비축물량 등을 집중 출하하는 방식으로 성수품 공급을 늘릴 방침이다. 이와 함께 농협과 축협 판매장, 대도시 직거래장터 등 전국 2379곳에서 한가위 성수품을 시중가보다 10~40%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의 명절 자금 수요에 대한 지원도 이루어진다. 자금 대출, 보증 등을 통해 모두 11조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또 저소득 근로자 가구를 돕기 위해 근로장려금 5600억원을 이달 중순에 미리 지급하고, 영세 자영업자에게는 부가세 조기환급금이 법정기한(10월10일)보다 앞당겨 지급된다.
이 밖에 신종 플루의 전염 확산을 막기 위한 대책도 나왔다. 정부는 한가위 연휴 기간 전염 확산에 대비해 거점병원 464곳과 거점약국 785곳에 100명분의 항바이러스제를 공급할 예정이다. 또 내년부터 서민 지출 비중이 큰 생필품 판매가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 6종의 원가 정보를 공개할 방침이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서울 남대문시장 내 새마을금고에서 추석 민생 및 물가 안정을 주제로 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전반적으로 물가가 안정돼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 서민들이 체감하는 것과 많은 차이가 있다”며 “전 부처가 힘을 모아 서민생활 안정과 물가 관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지시했다고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황보연 황준범 기자 whynot@hani.co.kr
정부의 물가관리 대상 21개 품목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