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라인 가동
“효율 이미 업계 최고 수준”
“효율 이미 업계 최고 수준”
삼성전자가 태양전지 사업 진출을 위해 첫발을 뗐다. 삼성전자는 14일 경기 수원시 기흥사업장에서 가동식을 열어 결정형 태양전지 연구개발 라인 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가동에 들어간 태양전지 연구개발 라인은 30㎿급 규모로, 실험실 단계를 넘어선 양산 라인 전단계다. 태양전지는 반도체 기술이 주로 쓰이는 결정형과 엘시디(LCD) 제조기술이 중요한 박막형으로 구분되는데, 삼성전자는 두 분야에서 고유 기술을 이전시킬 경우 효율성과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삼성전자는 연구개발 라인 설치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하고, 장비 국산화율도 85%까지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쪽은 “그동안 연구를 통해 결정형 태양전지의 광변환 효율을 이미 업계 최고 수준까지 달성했다”며 “현재는 박막형보다 효율이 좋은 결정형 태양전지 중심이지만 박막형 연구개발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태양전지의 광변환 효율은 햇빛을 얼마나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박막형은 제조 비용이 덜 들고 무게가 가벼워 벽이나 지붕 등 다양한 장소에 부착할 수 있다.
최동욱 삼성전자 광에너지사업팀 상무는 “태양전지 설계기술과 함께 연구개발 라인을 통해 확보한 설비와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2015년쯤 태양전지 시장에서 선두에 오를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인 그린테크미디어(GTM)는 세계 태양전지 시장이 올해 5.1기가와트(GW)에서 2012년 10.5기가와트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