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8년까지 10대 핵심 소재 개발에 1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 중견·중소 규모의 부품·소재 기업의 인력난을 덜기 위해 출연연구기관의 연구 인력을 해당 기업에 3년 이상 파견하는 방안도 마련된다.
지식경제부는 최근 청와대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두 차례에 걸쳐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한 ‘부품·소재 경쟁력 제고 종합대책’을 확정, 16일 발표했다. 선진국의 60% 정도인 핵심 소재 기술 수준을 2018년까지 9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것이 목표다.
우선 고유 브랜드로 육성할 핵심 소재 개발을 위해 기업과 학계,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기업형 사업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또 1000억원 규모의 소재 전문펀드를 조성해, 소재 기업의 연구개발(R&D) 이후 사업화에 필요한 자금 지원에 나선다. 지경부 관계자는 “내년 1월에 육성할 10대 핵심 소재를 선정할 것”이라며 “타이타늄과 고분자 전해질, 나노 글라스 소재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부품·소재 산업의 기술 인력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연구 인력을 부품·소재 기업이 직접 선발한 뒤 출연연구기관 소속으로 채용하는 방식으로, 최소 3년 이상 안정적 기술개발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파견 인력의 인건비 70%를 정부가 부담한다. 내년에 200명을 시범 파견하고 2013년부터 연간 1000명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