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년간 동계 한시적 시행
서민들 월동비 부담 가중될 듯
서민들 월동비 부담 가중될 듯
가스와 지역난방 요금이 오른 상황에서 국제유가도 배럴당 80달러 선에 육박해 겨울철 에너지 비용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특히 올해는 정부의 동절기 난방유 감세도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어서 서민들의 월동비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년간 겨울철에 한시적으로 시행했던 난방유 개별소비세 인하 조처를 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난방유 감세는 등유와 액화석유가스(LPG) 프로판, 취사·난방용 액화천연가스(LNG) 등에 대한 개별소비세율을 30%씩 깎아줬던 조처다. 지난겨울에는 12월부터 석달간 시행한 바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이날 난방유 감세와 관련해 “올해 겨울철은 지난해 고유가 상황과는 다르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고 말해, 감세 조처를 하지 않을 방침임을 내비쳤다.
앞서 지난 10월부터 도시가스 요금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9.5%, 지역난방비는 4.7% 올랐다. 가스료는 지난 6월 말 주택용이 5.1%, 일반용은 9.1%씩 올랐다. 여기에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이달부터 지역난방용 열요금을 3.52% 추가 인상했다. 전용면적 85㎡ 아파트를 기준으로 월평균 2000원 정도 난방비가 더 들게 됐다.
전기요금을 보면, 주택용은 지난해와 같지만 일반용은 지난 6월 말 가스료를 올릴 때 2.3% 인상됐다. 일반용을 쓰는 자영업자의 부담은 지난해 겨울보다 커졌다. 또 지난 1일부터는 연탄의 공장도가격이 개당 287.25원에서 373.50원으로 30% 올랐다. 이에 따라 연탄의 소비자가격은 개당 403원에서 489원으로 21% 상승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