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산업동향, 서비스업·소비재 판매도↑
10월 광공업 생산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0.2% 증가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다만 전달에 비해선 조업일수 감소 등으로 생산이 주춤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광공업 생산은 지난 7월 0.7%로 9개월 만에 증가세를 보인 이후 10월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업 및 임대업 등의 호조로 서비스업 생산도 1년 전보다 1.5%가 늘었고 신차출시 효과와 추석명절 영향으로 소비재 판매는 9.8% 증가했다. 설비투자도 기계류 및 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늘어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0.3% 늘었다.
10월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비로 무려 11%의 증가율을 보였던 9월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크게 둔화됐다. 예년과 달리 9월에 추석 명절이 포함되면서 조업일수가 1일가량 줄어든 데다 명절특수 효과를 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달과 비교하면 10월 광공업 생산은 3.8%가 감소했고,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9월 80.3%에서 10월 77.3%로 떨어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10월 광공업 생산을 명절이동에 따른 영향을 빼고 추정하면, 전년동월비로 4.2% 증가한 것으로 나온다”고 설명했다.
광공업 생산을 업종별로 보면, 지난해 같은 달보다 자동차(-12.8%)와 영상음향통신(-15.5%) 등이 크게 감소했고 반도체 및 부품(32.7%)과 화학제품(5.6%) 등은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순환변동치)는 전달과 동일했고, 미래 경기국면을 보여주는 선행종합지수(전년동월비)는 1.1%포인트가 올라 10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서비스업의 경우, 신종플루 확산으로 업종별 희비가 크게 엇갈렸다. 10월 휴양·콘도운영업과 유원지 및 테마파크운영업, 여행사업 등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각각 -8.2%와 -28.0%, -37.4%가 줄어들었다. 반면 택배업과 무점포판매업, 병원업 등은 각각 12.4%와 10.9%, 15.1%가 늘어 반사이익을 챙긴 것으로 집계됐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