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여만에 3%대…실질 국민총소득은 0.4% 증가 그쳐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직전 분기에 견줘 3.2%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기회복 흐름을 반영해 정부는 내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애초보다 1%포인트 높은 5% 안팎으로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3분기 국민소득(잠정치)’을 보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지난 10월26일 발표한 속보치보다 0.3%포인트 높은 3.2%로 나타났다. 이는 2002년 1분기의 3.8% 이후 7년 반 만의 최고치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도 속보치보다 0.3%포인트 높은 0.9%로 집계돼 지난해 3분기 이후 1년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한은은 “속보치 발표 이후 나온 9월 산업생산지수와 서비스업생산지수, 건설기성액 등과 기업 및 금융기관의 분기 결산자료 등을 추가 반영한 결과 성장률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민들의 주머니 사정을 나타내는 3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 대비 0.4% 증가에 그쳐, 총생산 성장률을 크게 밑돌았다. 이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교역조건이 나빠진 탓이다.
하반기 들어 경기회복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정부는 다음주 발표할 경제운용방향에서 내년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6월 내놓았던 4% 안팎에서 5% 안팎으로 올릴 것으로 보인다. 취업자 수 증가도 15만명에서 20만명 내외로, 경상수지 흑자액은 150억달러 내외로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김수헌 안선희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