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별 격차 커질듯
내년 1월부터 은행의 실질 자금조달 금리를 반영해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새로운 금리체계가 도입된다. 이에 따라 은행은 다음달부터 새 금리 산정 방식을 적용한 대출상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연합회는 17일 “은행권의 변동금리 대출의 기준금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21일 은행과 함께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내년 1월 중에 결과물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는 3개월물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가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 구실을 하고 있지만, 은행이 시디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비중은 10%에도 미치지 못해 대표성이 없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은행연합회는 태스크포스 논의를 거쳐, 은행채·시디·정기예금 등 은행의 자금조달원 가운데 신규 취급액의 가중평균금리를 주 단위로, 여기에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예금까지 포함한 잔액의 가중평균금리를 월 단위로 고시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은 두 가지 가운데 하나를 기준금리로 삼아 은행별 자금조달 비용과 고객의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를 붙여 최종 대출금리를 결정하게 된다.
마상천 은행연합회 여신제도부장은 “시디금리, 코리보금리, 은행채 금리에 이어 은행연합회가 고시하는 새로운 기준금리가 하나 더 생기게 되는 것”이라며 “개별 은행들은 고시된 기준금리를 가지고 자율적으로 대출상품에 적용하면 된다”고 말했다.
금리변동 주기는 3개월인 현행 시디금리 연동 상품보다 긴 6개월 혹은 1년이 될 전망이다. 시디는 단기상품인 데 비해 은행의 다른 조달수단은 1년 이상 장기상품이 많아 금리변동 주기를 짧게 가져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현재 시디금리가 은행채나 정기예금의 금리보다 낮기 때문에 새로 도입되는 기준금리는 시디금리 연동 상품의 기준금리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있어 최종 대출금리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은행별로 자금조달 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은행마다 대출금리가 다를 수 있다. 마상천 부장은 “기준금리는 전체 은행의 평균 조달금리이기 때문에 좀더 싸게 자금을 조달하는 대형은행은 가산금리를 낮출 여지가 커 대출금리를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