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총소득(GNI) 추이
70년 9만원→작년 2120만원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지난 1970년 이후 38년 새 243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1일 새 국민계정 통계 기준에 맞춰 과거 1970~1999년의 통계를 변경했다고 밝혔다. 2000~2008년 통계는 이미 지난 3월 새 기준에 따라 개편됐다.
새로 바뀐 통계기준으로 2008년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1030조6363억원으로 1970년보다 367배 확대됐다. 1인당 국민총소득도 1970년 9만원에서 2008년 2120만원으로 243배 증가했다. 미국 달러화로 표시한 1970년의 국민총소득은 82억달러로 세계 38위였으나 2008년에는 9347억달러로 세계 15위에 올랐으며, 1인당 국민총소득은 70년 255달러(119위)에서 지난해 1만9231달러(52위)로 상승했다. 새 통계 기준으로 1971~2008년 사이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7.5%로 종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산업구조도 크게 변화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서비스업 비중은 1970년 44.3%에서 2008년엔 60.3%로 높아졌고 제조업의 비중도 18.5%에서 28.1%로 확대됐다. 반면 농림어업 비중은 70년 29.1%에서 2008년 2.5%로 11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됐다. 또, 총저축률의 경우 1970년 17.4%에서 1988년 40.4%까지 올라갔으나, 그 뒤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해에는 30.7%로 떨어졌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