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까지 4000억원 투입…연간 25억씩 10년간 연구비 지원도
정부가 소프트웨어 분야 고급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중소·벤처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인력 양성 지원방안을 내놨다.
지식경제부는 8일 내놓은 ‘정보기술(IT) 인력 양성 중기 개편안’에서 2013년까지 4011억원을 투입해 정보기술 인력 4만여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정보기술 산업의 석·박사 인력은 1221명이 부족한 반면, 학사 출신은 1만8457명이 남을 것으로 전망되는 등 심각한 수급 불균형 현상을 해소하려는 조처다. 특히 소프트웨어(SW) 분야 고급인력은 9973명이 부족하지만 정부 지원은 여전히 하드웨어 위주로 편중돼 있고 중소기업의 석·박사 부족율도 대기업의 3배나 된다.
정부는 우선 학부 지원사업의 비중을 현재 전체의 38%에서 2013년까지 5%로 낮추고 대학원 지원사업 비중을 49%에서 67%로 확대할 방침이다. 석·박사 인력이 부족한만큼 고급인력 양성에 집중하겠다는 뜻이다. 또 올해부터 ‘소프트웨어 창의연구과정’을 신설해, 대학원생이 소규모 연구과제를 제안하면 기업이 함께 추진하도록 했다. 이미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이 프로그램에 일정 금액의 연구비를 부담하고 본사 연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지경부는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미국의 ‘엠아이티(MIT) 미디어 랩’ 같은 연구기관의 우수한 인재에 파격적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업에 연간 25억원씩 10년간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올해 1곳, 내년에 1곳으로 총 2곳에서 실시되며 정부는 과학영재학교와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정부는 졸업 후 3년간 해당업체에 근무하도록 하는 ‘고용계약형 소프트웨어 석사과정’을 통해 중소기업에 고급인력 공급을 촉진하는 한편, ‘산학협력 가점제’를 전면 도입해 교수의 산학협력 활동을 우대하는 대학에 사업자 선정 때 가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