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업계 반응
8일 정부가 창업투자사(벤처캐피털)의 권한 강화와 초기 기업 지원 강화를 뼈대로 하는 벤처 활성화 보완대책을 내놓자,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털 등 업계에서는 “벤처생태계가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대체로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그러나 벤처캐피털의 경영 지배 목적 투자 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벤처기업협회는 8일 “지난해 말 벤처 대책 이후 벤처기업을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일관된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고 환영했다. 벤처협회 쪽은 “특히 대학과 연구소 등에 주식회사 설립을 가능하게 하고 창업보육센터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 등은 벤처산업의 뿌리를 튼튼하게 만들 것”이라고 평가했다.
“M&A 활성화 벤처생태계 탄력”
“단기성과 집착땐 지속성장 한계” 벤처캐피털인 케이티비(KTB)네트워크 관계자도 “창투사들의 경영권 확보가 가능해진만큼,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금까지는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주된 방법이 기업공개였지만, 벤처캐피털이 경영권을 갖고 있으면 엠앤에이를 통한 투자금 회수가 가능해 투자가 더욱 활발해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한 벤처기업 관계자는 “벤처캐피털은 지금도 우호지분을 모아 직·간접적으로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는 형편”이라며 “단기 매출이나 성과만을 보고 평가하기 때문에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긴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문 벤처캐피털리스트들이 유한회사를 세워 투자조합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방안은 현실적으로 도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한 벤처캐피털 관계자는 “전문 벤처캐피털리스트를 키워내고 투자방식도 전문화될 수 있겠지만, 한국은 벤처의 역사가 짧아, 유한회사를 만들어 운영할 만큼의 경험과 성과를 가진 사람을 찾기 어렵다”며 “곧바로 현장에 도입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초기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도록 했지만, 벤처의 성장성과 사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인력풀을 만들어내는 일이 급하다는 의견도 있다. 생명공학 벤처인 ㅈ업체 관계자는 “기술 특허를 받고 회사를 세운 뒤 대출받기 위해 꼬박 2년 동안 은행이나 기보 등을 찾아다녔지만, 우리 기술의 사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 없어 결국 대출을 포기했다”며 “아무리 투자를 확대한다고 해도 벤처의 매출이 아닌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인력이 없는 한 이런 대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자리잡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단기성과 집착땐 지속성장 한계” 벤처캐피털인 케이티비(KTB)네트워크 관계자도 “창투사들의 경영권 확보가 가능해진만큼,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금까지는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주된 방법이 기업공개였지만, 벤처캐피털이 경영권을 갖고 있으면 엠앤에이를 통한 투자금 회수가 가능해 투자가 더욱 활발해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한 벤처기업 관계자는 “벤처캐피털은 지금도 우호지분을 모아 직·간접적으로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는 형편”이라며 “단기 매출이나 성과만을 보고 평가하기 때문에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긴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문 벤처캐피털리스트들이 유한회사를 세워 투자조합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방안은 현실적으로 도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한 벤처캐피털 관계자는 “전문 벤처캐피털리스트를 키워내고 투자방식도 전문화될 수 있겠지만, 한국은 벤처의 역사가 짧아, 유한회사를 만들어 운영할 만큼의 경험과 성과를 가진 사람을 찾기 어렵다”며 “곧바로 현장에 도입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초기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도록 했지만, 벤처의 성장성과 사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인력풀을 만들어내는 일이 급하다는 의견도 있다. 생명공학 벤처인 ㅈ업체 관계자는 “기술 특허를 받고 회사를 세운 뒤 대출받기 위해 꼬박 2년 동안 은행이나 기보 등을 찾아다녔지만, 우리 기술의 사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 없어 결국 대출을 포기했다”며 “아무리 투자를 확대한다고 해도 벤처의 매출이 아닌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인력이 없는 한 이런 대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자리잡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