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중소기업 55% “선진국에 기술 안뒤져”

등록 2010-05-05 21:29

89% “중국 등 신흥국엔 3년 이상 앞서”
국내 중소기업들이 선진국 기업에 기술 격차를 별로 느끼지 않는 반면, 중국 등 신흥국과의 경쟁에선 상당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지난달 중견·중소 제조업체 288곳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절반이 넘는 55.2%가 미국 등 선진국 기업과 ‘경쟁력이 비슷’(41.7%)하거나 오히려 ‘앞서고 있다(13.5%)’고 대답했다. 기술적으로 ‘3년 뒤진다’는 응답이 29.2%, ‘5년 뒤진다’는 응답이 12.1%로 조사됐다.

중국 등 신흥국 기업에 대해선 기술력이 3년 이상 앞선다는 응답이 89.6%로 나타났다. 기술 격차를 3년, 5년으로 꼽은 비율이 각각 39.3%, 41.3%였고, 10년 이상 앞서 있다는 응답도 9.0%에 이른다.

이런 조사 결과는 한국 기업들의 위기 상황을 강조할 때 흔히 쓰이던 ‘넛크래커 현상’의 압박감이 상당 부분 완화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대한상의는 풀이했다. 넛크래커는 한국 경제가 선진국에는 기술과 품질에서, 신흥개발국에는 가격 경쟁에서 밀리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로, 호두까기 기계(넛크래커) 속 호두와 같은 처지라는 뜻에서 비롯했다.

그러나 ‘미래에 회사가 먹고 살 수익원을 얼마나 확보하고 있느냐’는 물음에는 51.1%가 ‘확보하지 못했다’(27.8%)거나 ‘향후 3년까지 확보했다’(23.3%)라고 대답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는 미흡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정부의 성장잠재력 지원 제도의 활용도는 50% 수준에 그쳤고, 이용하지 않는 기업들의 다수는 ‘도움이 되지 않아서’라고 대답했다.

박중언 기자 park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1.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2.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3.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4.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5.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