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금융위기 이후 4.7% 줄어
“환율급등·소득정체 작용했을 것”
“환율급등·소득정체 작용했을 것”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우리나라의 단위노동비용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경제협력개발기구가 최근 내놓은 분기별 단위노동비용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4분기 한국의 단위노동비용은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8년 3분기와 비교했을 때 4.7%가 줄었다. 조사 대상 23개국 가운데 가장 큰 감소폭이다. 단위노동비용은 상품 한 단위를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노동비용을 말하는 것으로, 명목 임금이 줄어들거나 생산성이 높아질 때 감소한다. 금융위기 이후에 우리나라 노동자들의 소득 수준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셈이다.
한국에 이어 미국의 단위노동비용은 같은 기간 동안 2.4% 감소했고 일본과 아일랜드는 각 1.8%씩 줄어들었다. 금융위기 전후를 비교할 때 나머지 국가들의 단위노동비용은 모두 증가했다.
핀란드와 그리스는 7% 늘었고,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은 0.3% 증가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위기 전후로 단위노동비용 감소폭이 컸던 데는 환율급등과 소득정체 등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특히 3분기 연속 단위노동비용이 감소한 국가로 집계됐다. 한국의 단위노동비용은 2008년 3분기에 전분기보다 0.3% 감소한 뒤 4분기에 0.6%, 지난해 1분기에 0.4% 올랐다. 하지만 지난해 2분기에 1.5% 감소한데 이어 3분기와 4분기에도 각각 전분기에 견줘 2.2%가 줄었다. 3분기 연속 단위노동비용이 감소한 국가는 한국 외에 독일과 네덜란드 등 2개국 뿐이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