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상기 공적자금관리위원회 공동위원장이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전체회의를 마친 뒤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공자위, 광주·경남은행은 분리 매각키로 의결
내년 상반기까지 완료…하나·KB 인수 나설듯
내년 상반기까지 완료…하나·KB 인수 나설듯
정부가 내년 상반기까지 우리금융지주를 민영화하기로 했다. 공적자금 투입으로 사실상 국유화된 지 10년 만에 민간 영역으로 돌아가게 되는 셈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30일 우리금융지주의 자회사인 경남·광주은행을 분리매각하고, 우리금융지주는 일정지분을 매각 또는 합병하는 내용을 뼈대로 한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발표했다.
■ 10년 만에 ‘시장 속으로’ 지난 2001년 4월 설립된 우리금융지주는 부실에 허덕이던 한빛은행(상업은행+한일은행)과 평화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등이 한데 묶여 출범한 회사다. 정부가 당시 공적자금 13조원을 투입해 100% 지분을 갖게 됐고, 그 뒤 주식시장에 투자자들을 상대로 ‘블록세일’(일정 지분을 묶어 매각하는 것) 등을 거친 지금도 정부(예금보험공사)가 56.97%의 지분으로 대주주다. 권혁세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우리금융 민영화가 성공할 경우, 공적자금이 투입된 모든 은행들의 민영화가 마무리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공자위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지분을 매각하거나 다른 금융지주사 등과 합병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리금융이 100% 지분을 갖고 있는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등 지방은행 계열사는 분리 매각하되, 각각 ‘50%+1주’ 이상의 지분을 팔거나 합병하는 방식을 추진하기로 했다. 분리매각이 거론됐던 우리투자증권은 우리금융과 묶어 팔기로 결정했다. 민상기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은 “금융산업 발전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민간에 경영권을 넘겨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 매각 완료를 목표로, 다음주께 매각주관사 선정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매각 절차에 들어간다.
■ 누구 품에 안길까 현재 우리금융 인수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하나금융지주다. 하나금융의 총자산은 196조원으로, 우리금융 같은 대형 금융회사를 인수하지 않고는 자산 300조원이 넘는 케이비(KB)금융이나 신한금융과 맞설 수 없다고 보고 있다. 하나금융 쪽은 우리금융의 정부 지분을 인수할 경우 7조원에 가까운 자금이 필요한 만큼, 지분 인수보다는 주식 맞교환 방식의 합병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주식 맞교환을 통한 합병은 정부가 바로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것이 아니어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매각 원칙에 맞지 않은 게 문제다. 게다가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이 이명박 대통령과 고려대 경영학과 동기동창으로 가까운 사이로 알려져 있어 특혜시비도 불거질 수 있다.
또다른 인수 후보로 거론되는 곳은 케이비(KB)금융그룹이다. 비록 어윤대 회장이 섣부르게 ‘메가뱅크론’을 내세우다 안팎의 반발에 부닥쳐 당분간 인수·합병(M&A)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 내부 사정이 안정되면 케이비(KB)금융은 언제든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게 금융계의 관측이다. 전성인 홍익대 교수는 “국내외 투자자 모두를 상대로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받아 최대한의 매각 이익을 올리는 회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며 “주식 맞교환 등의 합병이 계속 거론되는 것은 특정 회사에 우리금융을 넘기려는 의도로 읽힐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우리금융그룹 지주현황/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추진 일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