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친환경 소비자 절반 넘어

등록 2010-08-13 09:17수정 2010-08-13 16:46

친환경 상품을 즐겨 구매한다는 ‘친환경 소비족’이 과반수를 넘어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서울 및 6대 도시 거주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녹색소비에 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의 54.8%가 ‘친환경 상품을 즐겨 구매한다’고 응답했다. 성별로는 남성(41.4%)보다 여성(60.6%)이 이런 성향이 많았고, 미혼자(42.8%)보다 기혼자(59.7%), 연령과 소득 수준이 올라갈수록 친환경 상품 구매경향이 높았다.

친환경 상품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자신과 가족의 건강 때문’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83.2%에 달했고, 이어 ‘환경개선 캠페인 동참’(11.3%), ‘에너지 비용 절감’(4.7%) 순으로 조사됐다.

가격에 대해서는 90.2%의 소비자가 판매되고 있는 친환경상품이 일반상품보다 비싸다고 느끼고 있었고,<‘매우 비싸다’(16.6%), ‘비싼 편이다’(73.6%)> 저렴하다고 느끼는 소비자는 7.8%에 불과했다.


상품군별로 살펴보면 ‘친환경 농수산물이 상대적으로 비싸다’고 생각하는 소비자가 전체의 41.0%에 달했고, 이어 ‘식품·음료’(17.4%), ‘화장·미용용품’(14.8%), ‘아동·유아용품’(13.0%) 등이 일반상품에 비해 비싼 것으로 인식됐다. 친환경 상품이 비싸다고 응답한 소비자들에게 ‘얼마 정도가 적정하냐’고 다시 물어본 결과, 50.1%가 일반상품보다 ‘5~10% 비싼 수준’을 적정 가격이라고 응답했다.

‘상품의 친환경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소비자의 48.6%는 ‘친환경 인증 라벨’을 보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매장 안내표지’(22.2%), ‘원재료의 친환경성 검토’(13.8%), ‘제조기업의 이미지’(9.0%) 등으로 집계됐다.

소비자의 92.4%는 녹색성장을 우리 사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유통업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녹색소비를 이끌기 위한 유통업체의 역할에 대해서는 소비자의 59.8%는 ‘품질 좋고 다양한 친환경 상품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중언 기자 park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단독] 성 상품화 논란 ‘누드 촬영대회’에 지자체 예산 수천만원? 1.

[단독] 성 상품화 논란 ‘누드 촬영대회’에 지자체 예산 수천만원?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2.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조카 돌반지값 어마어마하네…금 한 돈 53만원 사상 최고 3.

조카 돌반지값 어마어마하네…금 한 돈 53만원 사상 최고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4.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5.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