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협력업체 상생 방안
납품단가 조정때 함께 반영케…기술지원 등 혜택 확대
포스코가 ‘3T’ 상생협력을 선포하고 2~4차 협력업체까지 포함하는 공정거래 협약을 맺었다.
포스코는 18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1~2차 협력업체 대표들을 초청해 ‘포스코패밀리 상생협력 및 공정거래 협약식’을 열었다. ‘3T’란 상호신뢰(Trust)를 바탕으로 협력업체와 동반성장(Together)해 미래지향(Tomorrow)적인 관계를 구축해나간다는 뜻을 담고 있다.
우선 포스코는 원자재 값이 5% 이상 올라 1차 협력업체의 납품단가를 조정할 경우, 조정된 가격이 2~4차 협력업체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계약약관에 반영키로 했다. 2~4차 협력업체들은 상생협의체를 꾸려 1차 협력업체에 대한 단가조정, 제도개선 등의 내용을 온라인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포스코는 또 기존에 1차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해왔던 맞춤형 기술지원과 성과공유제(베네핏셰어링)를 연계한 프로그램도 2~4차 협력사로 확대한다. 성과공유제는 협력업체가 기술개발 등으로 원가를 절감함에 따라 원청업체가 이익을 얻었을 때, 그 이익을 협력업체와 나눠갖는 제도다.
73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펀드 대출 대상도 기존 1차 협력업체에서 2~4차로 전면 확대된다. 포스코가 보유한 녹색성장 분야의 특허기술을 중소기업이 무상 활용하도록 하는 특허기술 ‘풀(pool)’ 제도도 도입한다. 매달 한차례씩 임원들이 ‘중소기업 상생지원단’을 꾸려 현장체험에 나서는 등 몸으로 뛰는 상생경영도 강화할 예정이다.
1차 협력업체 1만5150곳이 포스코와 공정거래 협약을 맺었고, 이 가운데 298곳이 다시 2차 협력업체 1만1783곳과 자율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준양 포스코 회장을 비롯해 11개 출자사 대표, 1~2차 협력 중소기업 대표, 정호열 공정거래위원장, 김동선 중소기업청장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 정 회장은 이날 행사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상생협력과 관련해 정부에 요구사항이 없냐”는 물음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모두 공정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정부가 공정 거래에 대한 규정을 잘 살펴봐달라”고 말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