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응찬 신한금융지주 회장(왼쪽부터), 신상훈 신한금융지주 사장, 이백순 신한은행장이 9일 일본 나고야 메리엇호텔에서 재일교포 주주들과 사외이사들을 상대로 열리는 ‘신한사태’ 설명회에 참석하기 위해 굳은 표정으로 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나고야/연합뉴스
‘이사회 일임’ 결정에 라회장 쪽 “설명 잘됐다” 자신감
신사장 해임안 상정’ 놓고 이사진 상대 재대결 불가피
신사장 해임안 상정’ 놓고 이사진 상대 재대결 불가피
3인방 ‘일본 청문회’
신한금융지주 재일동포 주주와 사외이사들을 상대로 한 ‘나고야 설명회’에서 “이사회의 결정에 전적으로 따른다”는 결론이 나옴에 따라, 신한은행이 전직 은행장을 지낸 신상훈 지주 사장을 고소하면서 촉발된 ‘신한 사태’는 이사회로 공이 넘어가게 됐다. 이에 따라 신한지주는 다음주 안으로 이사회를 소집해 신 사장의 해임 안건 상정 문제 등을 원점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이사회 안건이 결정되지 않았지만, 일단 라응찬 회장과 이백순 행장은 이날 설명회를 통해 신 사장 해임 안건을 처리할 수 있는 절차적 명분은 얻은 것으로 보인다.
위성호 신한지주 부사장은 9일 설명회가 끝난 뒤 브리핑에서 “재일동포 주주들 사이에서 이번 사태를 조기에 수습해달라는 주문이 많았다”며 “이들은 이사회의 결정에 전적으로 따르기로 했다”고 말했다. 설명회에 참석한 주주들은 전반적으로 신한은행 쪽에 불쾌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신들에게 사전에 알리지도 않고 신 사장을 검찰에 고소해 신한의 신뢰를 추락시키고 주가를 떨어뜨렸다는 이유다. 하지만 사태를 더 이상 확산시키기보다는 주주들이 단합해 빨리 수습 절차를 밟자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특히 주주 모임은 이사회 일정이나 안건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없기 때문에,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조건 없이 이사회에 일임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는 게 위 부사장의 설명이다.
그동안 상당수 재일동포 주주들은 신한은행이 신 사장을 검찰에 고소한 것에 대해 절차 등을 문제 삼으며, 이사회에서 신 사장 해임안을 강행하는 데 대해서 강한 반대의견을 표명해왔다. 하지만 이날 설명회에서 주주들은 이른 시일 안에 이사회를 개최하고 이사회 결과에 대해 전적으로 따르겠다고 의견을 모아, 신 사장 해임을 준비하고 있는 라 회장과 이 행장 쪽에 다소 유리한 국면이 조성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설명회에서 주주들은 ‘라 회장이 적극 나서 사태 해결을 주도하라’는 주문을 주로 했고, 라 회장은 이에 대해 “믿고 맡겨주고 격려해주면 빨리 해결하겠다”고 말해 사태 수습 의지를 보였다. 라 회장은 또 설명회 뒤 기자들에게 “사전에 원로 주주들에게 이번 사태에 대해 알리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하고 설명하는 자리였는데 설명이 잘됐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하지만 신 사장은 이날 설명회 결과에 대해 “이사회에 해임안을 상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말이 왔다갔다해 결론을 못 내렸다”며 “회장님이 곧 이사회 일정을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 사장은 ‘설명회가 공정하게 진행됐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며 “간친회가 결의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특별히 의미 부여를 하지는 말라”고 말했다.
일단 설명회에서 이사회 조기 개최를 통한 사태 수습 쪽으로 가닥이 잡힘에 따라 다음주 중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이사회에서 라 회장, 이 행장과 신 사장은 이사진을 상대로 다시 한번 대결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신한은행 쪽은 신한지주의 재일동포 주주뿐 아니라 국내 사외이사들도 접촉해 설득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 사장도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는 자진사퇴설을 부인하며 “명예회복을 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날 나고야 설명회에 참석한 재일동포 사외이사 4명은 이사회에 참석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사회가 중재안으로 직무정지안이나 검찰 수사 결과 발표 이후로 해임을 유보하자는 쪽으로 뜻을 모을 수도 있다. 그러나 해임 유보와 직무정지는 모두 사건을 잠시 덮어두자는 ‘미봉책’이어서 사태 조기 수습과는 거리가 멀다.
나고야/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신한금융지주 지분 현황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