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 비상임이사직 사퇴
한국가스공사의 비상임 사외이사가 가스공사가 발주하는 공사 입찰에 참가했다가 문제가 되자 뒤늦게 이사직을 사퇴한 사실이 드러났다. 특히 문제의 비상임이사는, 한나라당 당직자 출신이면서 지난 대선 때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원조직이던 선진국민연대에서도 활동한 경력이 있어 ‘보은 인사’ 논란까지 일고 있다.
김재균 민주당 의원은 12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의 가스공사 국정감사에서 “지난 9월 3480억원 규모의 삼척엘엔지생산기지 방파제 건설공사 입찰자격 사전심사에 15개 컨소시엄이 응모했는데, 이 가운데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속한 유원종합건설의 대표이사는 가스공사의 비상임이사가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주강수 가스공사 사장은 “(입찰자격 심사) 지원서가 접수된 뒤에야 그런 일을 알게 됐다. 곧바로 당사자가 비상임이사직을 사퇴했다”고 답했다. 실제 가스공사는 지난 8일 전제원 비상임이사가 일신상의 이유로 사직했다고 공시했다.
가스공사 쪽은 “비상임이사의 경우 입찰 참여를 제한하는 규정은 없으나 낙찰돼 계약 상대방이 되는 경우엔 상법과 정관에 따라 퇴직 사유가 된다”며 “공사를 낙찰받을 때까지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도덕적인 차원에서 먼저 사표를 내고 나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 대표의 비상임이사 선임을 두고서도 말이 나왔다. 전 대표는 2007년 대선 당시 강원도 선진국민연대에서 활동했으며 2008년에는 한나라당 디지털정당위원회 자문위원장이었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이에 대해 가스공사 쪽은 “비상임이사는 본인이 응모한 뒤 추천위원회를 거쳐 기획재정부에서 최종 결정한다”며 “우리는 아무런 권한이 없다”고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당사자가 사퇴한 만큼 사업자 선정 일정에는 변함이 없으며, 오는 28일 사업자가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김 의원은 “현대건설 컨소시엄(현대건설 75%, 극동건설 10%, 서희건설 10%, 유원종합건설 5%)이 사업자로 선정될 경우엔 특혜 시비가 계속될 것”이라며 “이명박 정권의 무분별한 보은성 공기업 낙하산 인사 때문에 이런 말도 안 되는 도덕적 해이와 방만경영이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