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계약…7천억 대출 방침
현대그룹이 현대건설 인수전에 동양종합금융증권(동양종금)을 재무적 투자자(FI)로 끌어들였다. 전략적 투자자(SI)로 유치하려던 독일 엔지니어링 회사 엠플러스더블유(M+W)그룹과의 컨소시엄 구성이 무산된 것을 만회하려는 전략이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동양종금은 현대상선 주식과 보유한 컨테이너 등을 담보로 현대그룹에 7000억원 안팎을 대출해줄 방침이다. 두 회사는 이미 투자확약서(LOC)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회사 모두 공식적으로는 “확인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하면서도, 사실 관계를 적극적으로 부인하지는 않았다. 동양종금은 정확한 대출금 규모를 두고 아직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동양종금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나 주식을 담보로 잡은 대출이라면 크게 회사에 부담될 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양종금은 지난달 말 현대상선이 발표한 3967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 대표주관회사를 맡고 있다. 다음달 23~24일 주주 청약 이후 청약 미달에 따른 실권주는 동양종금 및 동부증권, 솔로몬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이 인수하기로 돼있다. 현대상선은 이 돈을 회사 운영자금과 현대건설 인수자금 등으로 쓸 예정이다.
이로써 현대그룹은 현대상선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현금성 자산 1조5000억원을 비롯해, 유상증자와 지분 매각 등을 통해 3조5000억~4조원으로 예상되는 현대건설 인수자금을 겨우 확보하게 된다. 하지만 이후 재무구조 개선약정 체결에 대비하기 위한 예비자금, 대출금에 대한 이자비용 등을 감안하면 결코 넉넉한 액수가 아니다.
한편 현대그룹이 매각 주간사인 메릴린치증권 서울지점에 낸 ‘우선매수청구권(현대건설을 우선적으로 인수할 권리)’ 요구에 대해, 채권단 내부에선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이후 현대그룹이 법적 소송을 내는 등 논란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채권단은 오는 16~17일께 우선인수협상대상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황예랑 이찬영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