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김동수 신임 공정거래위원장,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왼쪽부터).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물가불안 요인 선제 대응”
김동수 공정위원장 “물가 안정 위한 역할 확대돼야”
김동수 공정위원장 “물가 안정 위한 역할 확대돼야”
경제부처 수장들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가계부채 관리 강화와 선제적 물가불안 대응, 일자리 창출 등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새 경제팀 진용 개편의 키워드는 ‘스피드’(속도)에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윤증현(왼쪽 사진)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신년사에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대내외 여건 속에서 경기회복 흐름이 장기간 지속되도록 하기 위해 거시정책을 경기, 물가의 흐름을 감안해 유연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윤 장관은 “가계부채에 대한 총량 관리를 강화하고 금융시장 잠재 불안요인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해 위기 재발 방지를 위한 인프라를 확충해야 할 것”이라며 “물가불안 요인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하고 취업인프라 확충과 유연한 고용시스템 구축으로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늘려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복지정책에 대한 소신도 거듭 밝혔다. 윤 장관은 “복지정책에서 무책임한 포퓰리즘적 주장들은 결국 서민들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정치권이든 국민이든 나라 곳간을 공유지처럼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나라 곳간을 공유지로 취급해 서로 소를 끌고 나와 풀을 뜯게 하면 초지가 황폐화되는 공유지의 비극을 초래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이날 윤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새 경제팀 진용에 대해 “새로 온 사람들은 인선할 때 ‘스피드’ 쪽에 중점을 둔 것 같다”고 평가했다.
‘물가안정’에 대해서는 김동수(가운데) 신임 공정거래위원장도 취임 첫날부터 공정위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고 나섰다. 김 위원장은 취임식에서 “원자재 가격 급등과 함께 글로벌 유동성 확대 과정에서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물가상승 압력은 올 한해 우리 경제는 물론 서민생활을 위협하는 가장 큰 잠재적 불안요인 중의 하나”라며 “물가 등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우리 위원회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강화되고 확대돼야 한다”고 밝혔다. 공정위 본연의 업무인 경쟁정책이 물가안정 대책보다 뒷전으로 밀려나는 것 아니냐는 일부의 우려를 의식한 발언도 이어졌다. 그는 “혹자는 공정위가 물가안정을 책임지는 부처는 아니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그것은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근시안적 논리”라고 주장했다.
최경환(오른쪽) 지식경제부 장관은 신년사에서 우리나라가 올해 세계에서 아홉번째로 ‘무역 1조달러 클럽’ 가입을 앞둔 점을 상기시키며, 선진경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동반성장, 융합과 녹색 등을 화두로 제시했다.
황보연 이순혁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