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맘, 최근 5년새 1.9% 감소
주부남, 35% 늘어 15만6천명
주부남, 35% 늘어 15만6천명
최근 5년 새 구직활동을 접고 가사를 전업으로 삼는 ‘남성 전업주부’들이 크게 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의 고용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해 남성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활동 상태가 ‘가사’로 분류된 이들은 모두 15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2005년의 11만6000명에 견줘 5년 만에 34.5%가 늘어난 수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살 이상 인구 가운데 직장을 다니지 않으면서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가 아닌 상태에 있는 이들을 뜻한다.
전체 남성 비경제활동인구가 2005년 473만4000명에서 지난해 535만6000명으로 13.1%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가사에 전념하는 남성의 수가 빠른 속도로 늘어난 셈이다.
반면 육아를 위해 구직에 나서지 않는 여성의 수는 감소했다. 지난해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활동 상태가 ‘육아’인 경우는 146만9000명으로 2005년의 149만7000명에 견줘 1.9% 줄었다. 또 활동 상태가 ‘가사’인 여성은 지난해 559만6000명으로 2005년의 510만8000명에서 9.6% 늘어, 남성 전업주부의 증가율보다 크게 낮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늘면서 남성 전업주부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일반적으로 경제위기를 겪고 나면 일자리를 잃은 남성들이 집에서 쉬는 반면 여성들은 일자리를 구하러 나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세청이 2008년도 종합소득세 신고자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여성의 비율은 2005년 35.5%에서 2008년에는 40.3%로 늘었는데 이들 100명 가운데 18명은 남편이 소득 없는 전업주부인 것으로 파악됐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