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부실해소 대비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구조조정과 부실채권 해소 등 업권 안정화를 위해 20조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11일 금융위원회와 저축은행중앙회의 말을 종합하면,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위기 등에 대비해 모두 20조원의 가용 재원을 준비하기로 했다. 이 자금은 부실 저축은행 정리와 부실채권 매입, 일시적 유동성 공급 등 각 용도별로 쓰이게 된다.
우선 정부와 여당이 합의한 예금보험기금 공동계정이 설치되면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필요한 10조원을 마련할 수 있다. 매년 금융권이 예보기금 공동계정에 7600여억원을 적립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예보채를 발행하거나 예보기금의 다른 권역 계정에서 차입하는 방법이 동원된다. 이 자금은 부실이 심각한 저축은행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예금을 대신 지급하거나 인수·합병 때 순자산 부족분을 보완하는 용도 등으로 쓰일 예정이다.
공적자금인 구조조정기금 5조원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저축은행의 부실채권을 매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현재 구조조정기금은 저축은행 부실채권 인수용으로 3조5000억원, 은행권 부실처리에 1조원, 해운사 선박매입에 5000억원을 각각 투입하도록 하고 있으나, 최악의 경우 5조원 모두를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입에 이용할 수도 있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저축은행에 대한 불안감이 퍼져 고객들의 예금인출 사태(뱅크런)가 벌어질 경우, 정상영업을 하고 있는 저축은행도 유동성 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이에 대비해 저축은행들이 예치한 2조원 외에 추가로 3조원을 더 조성할 방침이다. 4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공사에서 신용공여한도를 미리 받아둔 뒤, 긴급한 경우 저축은행 대출채권을 담보로 자금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자금을 최대한 확보해두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