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급불안 해소”
민간 “수요자체 늘어”
민간 “수요자체 늘어”
연초 4%대로 출발한 ‘물가 쇼크’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정부는 현재 물가불안의 원인을 공급 쪽에서만 찾는다. 또 4월 이후에는 공급 쪽 물가불안 요인이 점차 해소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국제 원자재가격의 고공 행진과 세계경기의 점진적 회복을 고려하면 연중 물가불안 요인이 잠복해 있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기획재정부는 애초 3%대 중반으로 추정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은 4.1%를 기록한 데 대해 “이상한파와 구제역 확산,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 등 공급부문 충격이 예상보다 컸기 때문”으로 설명한 바 있다. 이런 공급부문 충격의 여파가 지속될 1분기에는 4% 수준의 물가상승률이 이어지지만, 2분기 이후 기상여건이 개선되는 등 불안 요인이 점차 해소되면 3.5% 안팎으로 떨어진다는 게 재정부의 전망이다. 윤종원 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3분기 이후에는 소비자물가가 3% 수준에서 안정화되고 연간 물가도 애초 정부 목표치를 크게 넘기지 않는 수준인 3% 초반대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낙관의 근거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물가상승세가 두드러졌던 만큼 올해 하반기에는 기저효과가 작용해 상승률이 자연스럽게 둔화하고, 연초부터 전방위로 펴고 있는 정부 물가대책의 효과가 어느 정도 가시화한다는 점 등이다.
그러나 최근 물가 불안을 ‘일시적 쇼크’로 한정짓는 정부 쪽 인식이 지나치게 안이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이미 상당수 민간 경제연구기관들은 지난해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3% 안팎이었던 연간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3% 중반 이상으로 높여 잡을 조짐이다. 강중구 엘지(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국제 유가를 비롯해 과거 원자재가격 불안은 짧게는 2~3개월, 길어야 6~8개월 정도 영향을 미쳤지만 이번에는 공급 쪽 요인만 있는 게 아니라 세계경제 회복으로 각국의 수요 자체가 늘면서 가격상승을 견인하고 있는 측면이 있어 물가 문제가 장기화될 수 있다”며 “이런 추세라면 연간 소비자물가가 3% 중반대를 넘길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농산물과 석유류 공급 쪽 요인을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는 지난 1월에 2.6%로 전달보다 0.6%나 올라 수요 쪽 압력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기대 인플레이션율도 지난달 3.7%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7월 이래 최고 수준을 보였다. 염상훈 에스케이(SK)증권 연구원은 “정부는 1분기가 지나면 대부분 변수들이 더 이상 요동치지 않을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며 “국제유가 등의 불안 요인 외에도 구제역 후폭풍이 외식비 등 개인서비스 요금 인상으로 번지고 그동안 억제됐던 등록금과 임금도 오르는 등 불안 요인이 곳곳에 산적해 있다”고 말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