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순자산 21% 감소
고소득층은 2.8%만 줄어
고소득층은 2.8%만 줄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에 보유자산 격차가 더 벌어져 가계자산 불평등도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임금근로자에 견줘 자영업자의 자산이 상대적으로 크게 줄었고, 집을 보유한 이들에 비해 전·월세 거주자의 부실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승훈 대구대 교수(경제학)는 25일 한국재정학회가 개최한 춘계학술대회에서 이런 내용의 ‘가계자산의 보유실태 및 가계부실화 가능성의 변화 분석’ 논문을 발표했다. 전 교수는 통계청의 2010년 가계금융조사와 2006년 가계자산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금융위기 전후의 자산규모 및 구성 변화, 자산 불평등도 등을 분석했다.
우선 지난해 소득 하위 20% 계층인 1분위 가구의 평균 총자산은 2006년에 견줘 23%(3279만원) 줄어든 데 비해, 소득 상위 20% 계층인 5분위 가구의 경우엔 1.4%(862만원) 늘어났다. 1분위 계층은 같은 기간에 부채 규모가 40.5% 줄었지만 5분위는 오히려 27.6% 증가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1분위가 21.0% 감소했고 5분위 계층은 2.8%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이처럼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고소득층이 자산과 부채 규모를 늘린 반면에 저소득층은 둘다 감소함에 따라 자산 불평등도는 더 악화됐다. 하위 20%의 평균 자산 대비 상위 20%의 평균 자산을 뜻하는 5분위 배율을 보면, 총자산은 2006년 4.36배에서 2010년엔 5.74배로 격차가 커졌다. 특히 금융자산이 4.35배에서 7.8배로 증가 폭이 컸고, 순자산의 5분위 배율도 4.2배에서 5.17배로 증가했다.
자산 불평등도를 보여주는 지니계수도 총자산이 2006년 0.620에서 2010년에 0.634로 2.2% 증가했다. 지니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뜻이다.
빚이 있는 가구 가운데 자산 대비 부채 비중이 100%를 넘어서는 부실위험 가구의 비중도 금융위기 이전보다 높아졌다. 경상소득 대비 부채총액을 기준으로 한 부실위험 가구의 비중은 2006년 38.8%에서 2010년에는 45.9%로 늘어났고, 총자산 대비 부채총액의 비중을 기준으로 봐도 4.4%에서 5.5%로 증가했다. 전 교수는 “가구 특성별로 부실위험 가구를 분석해보면 금융위기 여파로 임금근로자에 비해 고용주와 자영업자의 부실 위험이 더 높아졌다”며 “또 주거형태별로 보면 자가 소유자보다 전세나 월세 거주자의 부실화 위험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전체적으로 가계의 평균 순자산은 2006년 2억4164만원에서 2010년 2억2908만원으로 1256만원(5.2%) 감소했다. 금융위기 여파로 주가가 급락하면서 가계저축은 2006년 4570만원에서 2010년에 4088만원으로 10.5% 감소했고, 전셋값 상승으로 전세보증금 규모는 1046만원에서 1546만원으로 47.4% 증가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